공공기관 ESG의 중요성

‘공공부문 ESG 전략’

등록 : 2024-03-14 16:10

크게 작게

“우리나라에 환경·사회·투명경영(ESG)이 제대로 도입되고 정착되기 위해서는 공공기관부터 모범적인 경영을 시행해야 할 것입니다.”

홍형득 강원대 행정학과 교수 등 <공공부문 ESG 전략>(대영문화사 펴냄)의 저자들이 책에서 강조한 내용이다.

ESG 열풍이 우리나라에도 2020년 이후 세게 불어닥친 상태지만, 그 바람이 향하는 곳은 대부분 기업이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 등이 ESG를 제대로 실천하지 않는 기업에는 추가 투자를 않거나 기존 투자금마저 회수하겠다고 선언하면서, 기업이 생존 차원에서 ESG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공공부문 ESG 전략>의 저자들은 공공부문이 지방자치단체 및 유관기관과의 협업으로 지속가능한 ESG 협의체를 구성해 자생적인 역량을 강화해나갈 때 우리나라는 무늬만 ESG가 아닌 진정한 ESG 체계를 갖추게 된다고 강조한다.

이때 공공기관이란 정부의 투자나 출자 또는 정부의 재정지원 등으로 설립·운영되는 곳으로 기획재정부 장관이 해마다 지정한 기관을 말한다. 2021년 기준 모두 350개 기관이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해 공공기관으로 지정돼 있다. 이들 공공기관은 국가 운영에 필요한 철도·도로·공항·항만 등 필수 기간 시설을 운영하고, 국가 경제의 안정적 발전과 국민 행복을 위한 기금관리·산업진흥·복지·안전관리·환경보호·중소기업 지원 등 공공성이 짙은 업무를 수행한다. 국가가 국가답게 돌아가게 하기 위한 필수재인 셈이다.

사실 이미 공공기관들은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경영공시, 고객만족도 조사 등을 하며 투명운영을 위해 노력해오고 있다. 하지만 전세계에 ESG라는 틀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ESG의 기준을 중심으로 엄격한 경영실적 평가, 경영지침 적용 등으로 기관 운영의 책임성과 대국민 서비스의 질을 더욱 높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정책 평가의 틀에서 사회적 가치, 환경보호, 지배구조의 투명성 등으로 무게중심을 빠르게 옮기는 것도 한 방법이다.

또한 저자들은 “공공기관별로 맞춤형 ESG 전략을 개발하고, 나아가 세계적 경영의 흐름인 ESG 경영의 내재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며, 구체적 혁신경영전략 확보 및 실행을 위한 기본 틀 마련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김보근 선임기자 tree21@hani.co.kr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