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in 예술

보이지 않는 학살

지배층의 폭력 담은 사진전 여는 권순관 작가

등록 : 2018-11-01 15:05

크게 작게

“이데올로기에 의한 폭력과 피해를 어떻게 담아낼 수 있을까?”

사진작가 권순관(46)은 카메라 셔터를 누르는 순간마다 이 질문을 가슴속에 새긴다. 작가는 11월10일까지 학고재 신관에서 공개되는 <더 멀치 앤드 본스>(The Mulch and Bones)를 통해 지배층이 자행한 물리적 폭력과 정신적 피해를 어떻게 피사체에 담을 수 있을지 고민한 결과를 보여준다.

‘뿌리 덮개와 뼈’로 직역되는 전시 제목엔 어떤 의미가 숨어 있을까. 작가는 “거름을 썩힐 때 덮는 천과 시체의 뼈를 의미한다”며 “이것은 첨예한 대립 속에서 무고하게 희생된 망자의 모습”이라 했다. 몇 년간 계속된 그의 작품은 정치적 대결이 극한으로 치달은 ‘한국전쟁 전후’로 거슬러 올라간다. 전시장에 들어서면, 7m가 넘는 거대한 작품 어둠의 계곡’(2016, 사진)이 눈에 띈다. 짙은 색 나무들로 빼곡하게 채워진 이 작품은 “1950년에 벌어진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다. “어딘가 시신이 묻혀 있다면 부패해 잎사귀와 풀로 변하지 않았을까” 상상해 찍었다 한다.

전시장 아래층으로 내려가면 ‘제주 4·3’ 당시 정방폭포에서 학살돼 바다에 버려진 희생자들을 담은 작품 ‘파도’(2018)가 전시된다. “70년이 지났지만 그곳은 해변의 묘지로 보인다. 현장에서 학살될 때 희생자들은 마지막으로 무엇을 봤을까?” 작가가 찾은 답이 바로 파도였다.

그는 이렇게 ‘학살’을 그대로 보여주지 않는다. 이는 미국 시인 월리스 스티븐스의 ‘장소 없는 묘사’ 개념과 겹쳐 보인다. ‘장소 없는 묘사’란 “사건을 직접 담는 것이 아니라 그 사건을 통해 기인한 영감이나 느낌을 다른 것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장소 없는 묘사’처럼, 보이지 않는 막연함을 촬영하는 것은 ‘침묵의 공간’에 숨겨진 폭력의 기억을 현실로 끌어내는 것입니다.”


■ 권순관은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졸업했다. 2005년 대안 공간 풀의 ‘새로운 작가’로 선정됐으며, 2007년 5·18기념재단으로부터 ‘올해의 사진가’로 선정됐다. 그동안 성곡미술관, 아트센터나비 등에서 개인전을, 부산비엔날레와 아르코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등 단체전에 참여했다. 그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경기도미술관에 소장돼 있다.

이규승 서울문화재단 미디어소통실 미디어팀장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