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위기, 사회적경제로 해법 찾는 중”

몬트리올서 열린 사회적경제의 축제 ‘2016 국제사회적경제협의체 총회’ 무엇을 남겼나?

등록 : 2016-10-06 15:21

크게 작게

지난달 7일 캐나다 몬트리올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6 국제사회적경제협의체’(GSEF) 총회에 ‘무대 위의 도시‘ 세션에서 도시정부 대표들이 토론을 펼치고 있다. 왼쪽부터 마르그리트 멘델 콩코르디아대학 교수, 마리아 우바레세나 몬드라곤 시장, 드니 코데르 몬트리올 시장, 박원순 서울시장, 아다마 산가레 바마코 시장.

“전 세계가 경제위기와 불평등 심화를 겪고 있다. 사회적경제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지난달 7일부터 9일까지 캐나다 몬트리올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6 국제사회적경제협의체(GSEF) 총회’에서 나온 말이다. 62개국 330개 도시에서 온 1500여 명의 총회 참석자들은 “협동조합, 사회적 기업 등 사회적경제가 불평등, 실업, 사회적 배제 등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여러 사회문제를 해결할 열쇠가 될 것이다”고 입을 모았다.

총회에서 구체적인 사례로 몬드라곤협동조합이 소개됐다. 스페인 바스크 지역에 기반을 둔 몬드라곤은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노동자협동조합이다. 103개 협동조합에 7만5000여 명이 일하는 연합체로, 연매출이 30조 원에 이르는 스페인 기업 중 10위권 규모의 ‘그룹’이다. 몬드라곤은 바스크 지역 경제를 떠받치는 구실을 한다. 지역 내 고용 기여도가 10%에 이른다. 바스크 지역은 스페인에서 불평등과 소득 격차가 가장 작은 곳 중 하나로 꼽힌다.

몬드라곤협동조합의 사람 중심 경영

“사회적경제의 실리콘밸리라 할 수 있는 몬드라곤의 소득 수준은 스페인의 다른 지역보다 높을 뿐 아니라, 이 부가 공평하게 분배돼 사회 통합에 기여하고 있다” ‘무대 위의 도시’ 세션에서 마리아 우바레체나 몬드라곤 시장이 한 설명이다. 몬드라곤협동조합은 신입직원과 최고경영자의 연봉 차이를 6배 이내로 묶어놓고 있다. 한국의 협동조합 등 대부분의 협동조합은 협동조합 원칙에 따라 최저와 최고 연봉의 차이를 제한한다.

몬드라곤협동조합은 2008년 금융위기와 2013년 연합체에서 제일 규모가 컸던 ‘파고르 전자’ 파산 때 해고가 없어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사회적경제를 위한 지역생태계 조성’ 세션에서 ‘몬드라곤의 사람 중심의 경영’에 대한 발표에 그 답이 들어 있었다. 몬드라곤협동조합의 4대 핵심 가치는 협력과 참여, 사회적 책임과 혁신이다. 그중에서도 ‘협력과 연대의 원칙’이 몬드라곤 모델의 가장 중요한 요체다. 경쟁과 효율이 아니라 협력과 연대의 원칙으로 고용과 임금 문제를 바라보는 것이다. 발표자인 이본 수가스티 몬드라곤협동조합 엘케이에스(LKS) 매니저는 “몬드라곤 모델은 얼마든지 복제할 수 있다. 사회적경제는 사람 중심의 발전을 위한 강력한 수단으로, 협동조합이 진정한 사회 변화를 끌어내는 주체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총회 참가자들은 사회적경제가 이제 이념을 넘어 지구촌 위기를 해결하는 현실적 대안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했다. 유럽에서 경제·사회 정책 대안의 구체적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럽위원회(EC)의 미셸 카티나 클러스터·사회적경제 기업 부문 책임자는 사회적경제는 이미 유럽연합 국내총생산(GDP)의 10%를 넘어섰다고 지적하며 “기존 발전 모델이 한계에 부딪힌 상황에서 사회적경제는 충분한 대안이며, 특히 청년 문제의 해법으로 사회적경제를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럽연합(EU)은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경제사회 발전의 대안으로 사회적경제를 미래 동력으로 삼고 있다. 현재 유럽연합 노동자의 6.5%가 사회적경제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 상호부조조합, 협동조합 등이 일반화되어 있으며, 기업 간 서로 돕고 분배 정의를 이뤄가려는 움직임이 늘고 있다. 최근 유럽의회에서 사회적경제 관련 합동위원회를 만들어 사회적경제의 법적 지위를 강화하고, 사회적경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방정부와의 협력이 핵심

사회적경제가 제 몫을 하기 위해서는 지방정부와 파트너십이 중요하다는 것이 여러 발표에서 언급됐다. ‘도시의 지속가능 발전 전략으로써 사회연대경제’ 세션에서 볼로냐 사례 발표자인 크리스티앙 이아이오네 굴리엘모 마르코니대 교수는 공유재로서 도시를 강조했다. “지방정부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듣고 반영할 수 있는 최전선에 있기에 사회적경제 운동에서 지방정부와의 협력은 핵심적이다. 지방정부는 제도나 공간 등의 자원이 공공을 위해 쓰일 수 있도록 설계하고 집행해야 한다.”

마르그리트 멘델 콩코르디아대 교수는 몬트리올 시정부와 사회적경제 조직이 협업을 시도한 경험을 나눴다. 2009년 사회적경제 조직들은 몬트리올 정부와 협약을 맺고 함께 모여 정보를 공유하기로 뜻을 모았다. 학계, 지역사회 현장 전문가, 몬트리올 시 대표 등이 참여했다. 하지만 이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다. 당시 몬트리올 시정부가 사회적경제 조직들과 함께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사회적경제 기업으로부터 시가 받고 있는 서비스나 제품이 무엇이고 만족도가 어떤 건지, 조달과 관련해 사회적경제 기업의 범위를 넓힐 수 있는 방법을 함께 고민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다. 이제 다시 몬트리올 시에 이 대화를 재개해 본격화하자고 제안하고 있다.”

총회에서 몬트리올 시장은 이런 현장의 목소리에 화답했다. 드니 코데르 시장은 사회적경제는 사람이 중심인 민생 문제라며 “사회적경제가 주류로 자리 잡도록 도시정부와 시민사회가 함께 연대해, 생각은 전 지구적으로 하고 실천은 지역에서 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공동의장인 박원순 서울시장도 총회에서 “전 세계가 새로운 경제 동력,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한 시점에서 우리는 그 답을 사회적경제에서 찾고 있다”며 “사회적경제는 협력·협동·연대·평등이라는 가치를 되살리는 운동이며, 시민의 참여로 이루어지는 경제”라고 강조했다.

‘2016 국제사회적경제협의체 총회’ 참석자 1500여 명이 세미나, 토론회, 맞춤형 교류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국제지식전수센터 출범시키기로

이번 총회에서 사회적경제의 국제연대는 또 하나의 결실을 봤다. 회원들은 사회적경제의 지식 교류 플랫폼 출범에 뜻을 모았다. 우선 서울시와 몬트리올 시, 몬드라곤 시가 사회적경제 관련 지식을 공유하고, 활동가들의 교류를 활성화하는 중심기구인 ‘국제지식전수센터’(CITIES) 출범을 약속했다. 센터는 각국의 사회적경제 모범 사례와 지식을 확산하고, 지방정부와 시민사회 간의 협력을 강화하려는 국제사회적경제협의체의 실행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폐회식에서 참석자들은 ‘몬트리올 선언’에 사회적경제를 통한 혁신으로 지역의 문제 해결에 앞장서겠다는 뜻을 담았다. 이들의 ‘희망과 열정’이 얼마나 현실화할지 주목된다.

몬트리올(캐나다)/글 이현숙 기자 hslee@hani.co.kr

사진 손정화 라파엘인터내셔널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