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공유
서울 용산구(구청장 박희영)가 구민과 종사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2025년 중대재해 예방 종합계획’을 수립했다고 11일 밝혔다.
구는 ‘오늘 만드는 안전, 내일이 행복한 용산’이라는 비전 아래 ‘중대재해 제로(ZERO)’, ‘산업재해 5% 감축’을 목표로 다양한 추진 과제를 마련했다. 주요 내용은 △ISO 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을 통한 안전보건 관리 체계 강화 △사업장 내 유해·위험 요인 개선 △안전보건관리 책임자 및 종사자 교육 실시 △도급·용역·위탁사업의 안전보건 업무 매뉴얼 강화 △중대재해 비상조치 매뉴얼 운영 및 점검 등이다.
올해부터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도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에 포함됨에 따라 구는 사업장에 대한 안전보건 의무사항을 안내하고 업종별 의무 이행 사항과 주요 재해사례를 담은 홍보물을 배포할 계획이다.
고위험작업 특별 안전점검. 용산구 제공
구는 어린이집, 요양원, 도로, 교량 등 40여 개의 중대시민재해 대상 시설물 안전관리도 강화한다. 연간 시설물 안전계획을 수립하고 안전보건 인력과 예산을 확보해 지속적으로 점검할 방침이다.
2022년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구는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전담팀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산업재해율을 2019년2021년 평균 2.8%에서 2022년2024년 1.26%로 약 45% 줄이는 성과를 거뒀다. 중대시민재해 대상 시설물에는 지난해 44억7000만원을 투입해 안전펜스, 추락방지 난간 설치 등 보수·보강 작업을 진행했다. 또한, 전문 인력을 활용한 수시 점검과 대피 훈련을 실시해 시설물 안전성을 높였다. 구는 2024년 도로교통, 감염병, 화재 등 사회·자연재난 예방에 464억원을 집행했으며, 2025년에는 예산을 501억원으로 확대해 구민과 종사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친환경 안전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2025년 중대재해 예방 종합계획을 철저히 이행해 구민과 종사자 모두가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앤 취재팀 편집
2022년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구는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전담팀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산업재해율을 2019년2021년 평균 2.8%에서 2022년2024년 1.26%로 약 45% 줄이는 성과를 거뒀다. 중대시민재해 대상 시설물에는 지난해 44억7000만원을 투입해 안전펜스, 추락방지 난간 설치 등 보수·보강 작업을 진행했다. 또한, 전문 인력을 활용한 수시 점검과 대피 훈련을 실시해 시설물 안전성을 높였다. 구는 2024년 도로교통, 감염병, 화재 등 사회·자연재난 예방에 464억원을 집행했으며, 2025년에는 예산을 501억원으로 확대해 구민과 종사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친환경 안전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2025년 중대재해 예방 종합계획을 철저히 이행해 구민과 종사자 모두가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앤 취재팀 편집
서울& 인기기사
-
1.
-
2.
-
3.
-
4.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