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간 전국 최초 정책 22건 시행…생활밀착 행정혁신의 아이콘

등록 : 2020-09-17 16:01

크게 작게

스마트 쉼터·횡단보도와 전자명부 등

첨단기술 활용, 주민 삶 개선 정책 펼쳐

국 신설, 시책추진과·구정연구팀 운영

2년 연속 정부혁신평가 대통령상 받아


성동 빅데이터센터의 사업과 연계해

스쿨존 방어운전 시스템 만들 계획

‘K 방역 숨은 영웅’ 필수노동자 위한


조례 시행, 법 제정 등 정책 확산 노력


GTX-C 왕십리역 정차 꼭 이뤄낼 것

학군 조정 위한 교육청 협의 긴밀 진행

정원오 성동구청장이 10일 오전 구청 전략회의실에서 과 인터뷰하고 있다. 정 구청장은 민선 7기 구정 비전인 ‘스마트 포용도시’ 실천의 구체적인 모습과 후반기 역점사업에 대해 말했다.

‘전국 최초 정책·사업 22건.’ 민선 7기 전반기 2년 동안 정원오 성동구청장이 일군 혁신의 성과다. 그는 ‘더불어 행복한 스마트 포용도시’를 구정 비전으로 내세웠다. 이를 위해 첨단기술을 활용해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사회적 약자 보호 범위를 넓혀왔다. 스마트 횡단보도에 이어 최근엔 버스정류장의 스마트 쉼터를 선보였다. 어린이집 통학 차량에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 도입부터 코로나19 방역에 큰 역할을 한 모바일 전자명부까지 다양하다. <서울&>은 10일 성동구청 전략회의실에서 정 구청장을 만나 그간의 스마트시티 정책의 성과와 앞으로의 역점 사업에 대해 들었다.


“쾌적한 환경에서 안전하게 버스를 기다릴 수 있습니다.”

<서울&> 인터뷰에 앞서 구청 앞 버스정류장의 스마트 쉼터를 들른 정원오 성동구청장의 첫마디다. 스마트 쉼터는 민선 7기 전반기 주민들의 체감도가 높은 사업이다. 기존 버스정류장 바로 옆에 있다. 안면인식 발열 측정기의 체온 체크와 마스크 착용 확인을 거쳐 자동으로 문이 열린다. 3면 강화유리에 나무 테이블과 의자도 있어 작은 카페처럼 아늑하다. 공기청정 냉난방, 자외선 공기 살균, 지능형 폐회로텔레비전(CCTV)에 공공 와이파이와 휴대폰 충전기도 갖췄다. 때마침 한 주민이 들어와 “버스 기다리기가 훨씬 좋아졌다”며 그에게 인사를 건넸다.

구청 전략회의실로 자리를 옮겼다. 정 구청장은 “주민들의 교통권은 기본권이다”라고 강조한다. 버스는 주민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인데, 버스정류장은 폭우, 폭염, 한파는 물론이고 차량 매연과 미세먼지에 그대로 노출된다. “같은 대중교통인 지하철역에 비해 버스정류장에는 편의시설이 없는 게 늘 안타까웠다”며 스마트 기술을 활용해 버스정류장 환경 개선에 나선 이유를 설명했다.

지난해 11월 엘지(LG)전자와 업무협약을 맺고 기술과 디자인을 협의해 사업을 구체화했다. 올여름 버스 이용자가 많은 10곳에 스마트 쉼터를 시범 설치했다. 예산은 국비와 구비 절반씩 해 10억원으로 진행했다. 한 곳당 1억원가량 드는 스마트 쉼터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에 대해 그는 “효용성이 있으면 언젠가는 대세가 될 거라 믿는다”고 말했다. “앞서가는 일에서는 감수해야 할 부분”이라며 앞으로 몇 년 안에 서울의 대표 교통 인프라가 될 것으로 자신했다.

이런 자신감엔 지난해 선보인 스마트 횡단보도 사업 성과가 한몫했다. 초등학교 등 12곳에 설치한 8가지 기능(엘이디 유도등, 바닥 경고등, 차량번호 자동인식 장치, 경고판 등)을 부가한 스마트 횡단보도는 시비와 구비, 특별교부금 등 12억원의 적잖은 예산이 들었다. 시행 반년 만에 눈에 띄는 성과를 거뒀다. 차량의 정지선 위반 건수는 83.4% 줄었고, 보행자 열에 아홉이 안전감을 느꼈다고 할 정도로 효용이 컸다.

성동구의 스마트시티 정책은 ‘수요자 중심’에 가장 중점을 뒀다. 정 구청장은 “주민들이 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작은 변화도 복지이기에, 삶의 질을 높여주는 기술을 많이 만들어 행정 서비스에 접목해왔다”고 했다. 전반기엔 조직과 제도 기반을 갖췄다. 민선 7기 출범 뒤 시책추진반 티에프(TF)를 운영한 데 이어 지난해 1월 스마트포용도시국을 신설했다. 국 안에 전담부서인 시책추진과를 두고 구정연구팀도 만들었다. 서울대 산학협력단과 연구용역을 통해 학술적인 토대를 다졌다. 앞서 전국 최초로 스마트포용도시 관련 조례를 2018년 12월 제정했다.

구는 또 직원들이 역량을 키우도록 교육과 동아리 활동을 지원해왔다. ‘혁신리더 성동포럼’을 매달 이어오고 있다. 관련 영역의 전문가를 불러 강의를 듣고 행정에 어떻게 도입할 수 있는지 의견을 나눈다. 팀장 이상 간부들과 관심 있는 직원들이 참여한다.

지난해 3월 젊은 직원을 중심으로 스마트시티 사업을 연구하는 동아리 ‘적정기술연구회’가 생겼다. ‘적정기술연구회’는 첨단기술을 접목해 자원을 절감하며 다양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성동형 적정기술을 찾는 활동을 한다. 그간 60여 명이, 현재 3기에 20여 명이 참여하고 있다. 정 구청장은 “시루 속에서 콩나물이 자라듯 직원들도 함께 커왔다”며 “직원들은 힘들지만, 보람을 느끼고 자신감이 생겼다고 한다”고 했다.

이런 노력의 결과로 성동구는 전국 지자체 가운데 유일하게 정부와 서울시의 스마트시티 관련 공모 사업을 둘 다 받았다. 2018과 2019년 2년 연속으로 행정안전부 정부혁신평가 대통령상을 받았다. 그는 “성동형 스마트시티 정책이 큰 상으로 평가받았다”며 자부심을 드러냈다.

후반기 구정에서 정 구청장은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혁신 사업들을 더욱 넓혀간다. 지자체 폐회로텔레비전(CCTV) 통합플랫폼 구축 사업을 내실 있게 운영하며, 스마트 쉼터와 횡단보도는 내년까지 주민들이 원하는 주요 지역에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성동 빅데이터센터의 사업과 맞물려 스쿨존에 방어운전 시스템을 만들어볼 계획이다. 운전자가 차 안에서도 아이들 모습을 확인할 수 있어 돌발 상황 때 급제동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센터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구의 정책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 3월 출범했다. 현재 전문 인력 5명과 청년 일자리 참여자 50명이 온·오프라인 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그 결과를 공유·활용한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 돌봄, 택배 등 열악한 환경에서 일해야 하는 필수노동자들 지원에도 나선다. 정 구청장은 ‘케이(K) 방역의 숨은 영웅’인 이들의 노동을 존중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하기 위해 전국에서 처음으로 조례를 발의했다. 조례는 성동구의회의 의결을 거쳐 10일 공포됐다. 그는 “‘하루만 없다면’ 캠페인(가칭), 법 제정 등 인식 개선과 정책 확산을 위해 노력하려 한다”고 했다. 구는 필수노동자들에게 개인보호장비 지급, 위험수당 지급, 예방접종, 심리안정치료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코로나19 위기 속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도록 복지 서비스 개발도 이어간다. 디지털 돌봄을 위한 행정 서비스 구축, 비대면 생활지원 프로그램을 발굴한다. 정 구청장은 “내년 업무 계획과 예산을 짤 때 불필요한 사업은 부서별로 1건 이상 과감히 정리하고 새로운 행정 수요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사업들을 찾도록 주문하고 있다”고 했다.

교통 분야의 시급한 현안은 GTX-C 노선 왕십리역 정차 건이다. GTX-C는 수원역부터 양주 덕정역까지 이어지는 수도권 광역 급행철도다. 지난 5월 애초 주택가에서 왕십리역 지하를 지나는 거로 공사 변경안이 발표되면서, 구는 왕십리역 정차를 요구해왔다. 구민을 포함한 23만 명의 서명안도 제출했다. 국토교통부는 최대 3천억원의 사업비가 더 들어 무리라는 입장이다. 그는 “왕십리역 이용자는 연 1억900만 명에 이르기에 비용 대비 경제성이 높다”며 “구가 진행하는 용역 보고서가 나오는 대로 국토부와 민자사업자를 설득해 관철해내려 한다”고 강한 어조로 말했다.

교육은 정 구청장이 민선 6기 때부터 끊임없이 노력해온 분야다. 교육 특구 지정, 학교시설 개선 등 눈에 띄는 성과를 냈지만, 여전히 아쉬운 부분이 있다. 주민들의 불만이 큰 학군 조정은 자치구 권한 밖이라 교육청과의 긴밀한 협의로 풀어갈 수밖에 없다. 그는 “중학교가 몰려 있는 곳을 조정해, 수요가 충분한데 학교가 없는 곳에 생길 수 있게 풀어보려 한다”고 했다.

변화와 혁신의 마인드로 앞선 행정을 펼치는 데 가장 큰 걸림돌로 정 구청장은 재정을 꼽았다. 보편적 복지 사업 수요 증가로 기초지자체의 사회복지 예산 비중은 해마다 늘어, 자체사업에 필요한 재정은 늘 부족한 상황이다. 구 예산을 아끼고 정부나 서울시의 외부 자원을 적극적으로 유치해왔지만 한계가 있다. 그는 정부의 재정분권 추진에 기대를 건다. “광역 중심의 1기와 달리 기초지자체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재정분권 2기 안이 꼭 통과됐으면 한다”고 했다.

정 구청장은 개인 휴대전화 번호를 주민에게 공개하고 있다. 그에게 주민의 목소리는 아이디어 뱅크이자 행정을 변화시키는 밑바탕이다. “하루 서너 통 주민 문자를 받는다”며 “아무리 바빠도 2~3일 안에는 꼭 답신을 보낸다”고 했다. 문자메시지 회신엔 “코로나19를 함께 이겨내는 데 힘을 모아줘 감사하다”는 말을 덧붙인다.

이현숙 선임기자 hslee@hani.co.kr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