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터야, 놀자
땅따먹기 한 판에 재미는 두 배, 소통 능력은 세 배
등록 : 2016-09-22 15:25 수정 : 2016-09-22 15:26
시원한 바람 부는 느티나무 아래에서 아이들이 땅따먹기 놀이에 흠뻑 빠져 있다. 박찬희 제공
“나 일 번, 나는 이 번, 나는 삼 번.” 아이들이 자기들끼리 놀이 순서를 정했다. 한 아이가 금을 밟지 않으려고 신중하게 뛰었다. 애써 반환점을 돌아오다 그만 금을 밟자 아이들이 일제히 “금 밟았어!”라며 소리를 질렀다. 그러자 그 아이는 “안 밟았어!”하며 억울한 표정을 지었다. 잠깐 승강이를 벌이던 아이들은 사건 현장에 남은, 금 위에 찍힌 신발 자국을 가리켰다. 이런 승강이가 아이들에게는 인간이 달나라에 간 것보다 더 중요한 일인 듯했다. 다시 놀이가 시작되었다. 가로등이 환해져도 아이들은 멈출 기색이 없다. 이 놀이가 밤늦도록 아이들을 붙잡고, 또 세대를 거쳐 이어진 힘은 뭘까? 자기 힘으로 이룬 성과가 눈에 보이기 때문일까, 친구를 이겼다는 쾌감 때문일까, 혹은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 지내야 하는지 자연스럽게 배우기 때문일까. 아이들이 노는 모습을 보면서 사회학자라도 되는 것처럼 이유를 헤아려 보기 바쁘다. 그러나 이것저것 따지는 건 어른이고, 당사자인 아이들은 다르다. “재미있잖아요!” 맞다, 재미있으니까. 뭐가 더 필요할까! 글 사진 박찬희 자유기고가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