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캠프’에서 본 성공 스타트업
‘가족 같은 따뜻함’으로 스타트업의 절친 되다
‘디캠프’에서 본 성공스타트업 ⑫ 디캠프의 ‘성공 요인’
등록 : 2022-12-01 17:13 수정 : 2022-12-07 11:58
지난 11월22일 마포구 공덕동 프론트원에 스타트업 대표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은행권청년창업재단 디캠프에서 입주생활을 하고 있거나 졸업한 이들이다. 대표들은 디캠프의 ‘가족 같은 배려’와 ‘지속적 소통’이 스타트업이 기반을 잡고 성장해나가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입을 모았다. 사진 왼쪽부터 벤 아사프와 김나율 ‘클리카’ 공동대표, 장승래 ‘디버’ 대표, 윤지현 ‘소보로’ 대표.
스태프, 전문성 갖추고 실질적 도움 줘 입주 기업들, 졸업 뒤에도 끈끈한 관계 ‘국내 최대 규모와 독립성’이 안정 바탕
“성공 향한 긴 여정 함께할 것” 믿음 줘 ‘성공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디캠프의 ‘성공요인’은 뭘까? 지난 1월 시작한 ‘디캠프에서 본 성공 스타트업’ 연재를 진행하면서 든 생각이다. 연재는 디캠프가 어떻게 스타트업을 성공으로 이끄는지 살피고, 이를 스타트업을 꿈꾸는 청년들에게 전달하는 데 초점을 뒀다. 이에 따라 그동안 △데모데이인 ‘디데이’를 통한 스타트업 발굴 △교육 프로그램인 ‘오피스아워’나 ‘살롱’을 통한 성장 지원 △입주 스타트업에 대한 다양한 복지 시행 △스타트업을 위한 맞춤형 심리상담 △스타트업 세계 진출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의 확대·강화 △디데이에 출전했거나 입주한 기업을 위주로 한 최대 3억원의 직접 투자 등을 살펴봤다. 기자는 취재과정에서 디캠프가 ‘우리나라에서 스타트업들이 가장 입주하기를 바라는 곳이자 투자받고 싶어하는 곳’이라는 얘기를 자주 들었다. 19개 금융기관이 출자해 은행권청년창업재단 디캠프를 설립한 것이 2012년, 활동 기간이 10년밖에 안 되는 디캠프가 이런 긍정적 평가를 받는 데는 분명한 이유가 있을 거라 생각했다. 스타트업으로 치면 성공한 스타트업인 셈이다. 연재를 마감하면서 디캠프 입주생활을 ‘졸업’한 스타트업에 디캠프의 장점을 물어본 이유다. 졸업생들이 꼽은 디캠프가 좋은 이유는 ‘가족 같은 배려’와 ‘지속적 소통’으로 모인다. ‘라스트마일 물류와 디지털 메일룸’을 제공하는 스타트업 ‘디버’의 장승래 대표는 디캠프를 “친정집 같은 곳”이라고 평가했다. 엘지유플러스의 사내 벤처로 출발한 디버는 2020년 하반기에서 2021년 하반기까지 1년 동안 마포구 공덕동에 있는 프론트원에 입주했다. 프론트원은 2020년 7월부터 은행권청년창업재단 디캠프가 운영하는 스타트업 복합지원 공간이다. 디버가 디캠프와 인연을 맺은 것은 디버가 운영하는 ‘디포스트 서비스’를 이 프론트원에 설치하면서다. 디포스트는 건물 내 임직원의 편의를 위해 퀵이나 택배·서류 등의 물품을 대신 수령하고 발송까지 해주는 서비스다. 디버는 창업 이후 수차례 데모데이인 디데이에 출전했지만, 세 차례나 고배를 마셨다. 당시 장 대표는 직원들로부터 “대표가 프레젠테이션을 못해서 떨어졌다”는 핀잔(?)을 받아야 했다고 고백한다. 네 번째 만에 디데이를 통과하고 프론트원에 입주한 장 대표는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디데이에 도전해 마침내 디캠프 패밀리가 된 것은 매우 잘한 일”이라고 웃으며 털어놓는다. 1년간의 프론트원 입주 기간 디버는 빠른 성장을 경험했다. ‘진화된 퀵서비스’와 ‘디지털 메일룸’을 제공하는 디버는 프론트원 입주 당시 5억원을 투자받은 상태였고 직원은 15명이었다. 하지만 1년 뒤 프론트원을 떠날 때는 투자금은 20억원으로 4배가 늘었고 직원도 30명으로 두 배가 됐다. 현재는 다시 투자금 유치 45억원에 직원이 70명으로 커진 상태다. 성장의 1차 동력은 특허를 4개나 보유한 디버의 기술력과 단합된 조직문화다. 하지만 장 대표는 “‘가족처럼 열심히 지원하는구나. 진심으로 대하고 노력하고 있구나’라는 것을 느끼게 하는 디캠프 스태프의 노력도 적지 않은 역할을 했다”고 설명한다.
디캠프에서 입주생활을 하고 있거나 졸업한 스타트업 대표들이 마포구 공덕동 프론트원 1층에서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