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우의 서울&
“우리 학교는 과연 민주시민교육을 제대로 하는 걸까?”
학교에서 민주시민교육 중요성 강조한 책 펴낸 장은주 영산대 교수
등록 : 2017-03-30 14:16
지난 25일 의 저자 장은주 영산대 교수가 자신의 책을 보며 설명하고 있다.
‘민주시민’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많은 개념이 포함되겠지만, 정의를 지향하면서 동시에 정의의 이름으로 획일화된 능력주의 서열화에 지배당하지 않는 의식을 말한다. 개인과 사회가 민주적으로 상호 인정 관계라는 점을 자연스럽게 여기고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사람.” ‘민주시민교육’이란? “시민으로서의 덕성, 주체성을 계발하고 함양하는 것이다. 정치·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며, 각종 의제에 자기 의견을 투영하고 반영하려고 하는 시민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런데 시민교육도 출발점은 결국 학교이다. 학교에서 민주시민교육의 체계적인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책에 독일과 영국의 정치교육 사례가 있던데, 간략히 소개하면. “독일(당시 서독)은 히틀러 같은 정권이 다시 들어서서는 안 된다는 사회적 공감대 아래 체계적인 ‘정치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일찍부터 있었다. 연방 차원에서 정치교육을 관장하는 기관도 있다. 이런 독일도 처음에는 좌우 정권이 바뀔 때마다 상대방을 ‘의식화’ 또는 ‘우민화’ 교육을 한다며 비난했다. 그러다가 1976년 보이텔스바흐라는 작은 도시에서 여러 정파의 교육 전문가들이 모여 일종의 합의에 도달했다. 이 ‘보이텔스바흐 합의’의 핵심 내용은 교사에 의한 (정치적) 교화를 금지하고, 논쟁적 주제를 회피하지 말고 토론하게 하고 판단(사고)은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하도록 한다는 것이었다. 영국은 2000년대 초 독일과 비슷한 ‘시민교육’ 과정을 정규 학교교육에 포함시켰다.” 학교에서 정치·사회적으로 민감한 토론이 가능할까? “개인적으로 <한겨레>와 <중앙일보>가 공동기획으로 서로의 사설을 비교하는 ‘사설 속으로’를 모범 사례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념 대립이 강한 사회일수록 이런 비교 방식이 아니면 정치교육이 이뤄지기 어렵다. 다양한 방향에서 연구해볼 가치가 있는 사례라고 교육 전문가들에게 소개한 적도 있다.” 정권 교체 가능성이 크다. 다음 정권에게 바란다면? “촛불 이후 한국 민주주의는 절호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새 정부에서는 민주시민교육의 법제화, 정파를 초월한 전담 기구 설치 등 법적·제도적 지원 장치가 마련되기를 바란다. 그리고 독일의 보이텔스바흐 합의와 같은 사회적 합의가 우리 사회에서도 가능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장 교수는 서울대 철학과를 나와 독일 프랑크푸르트 요한 볼프강 괴테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권의 철학>(2009), <정치의 이동>(2012), <유교적 근대성의 미래>(2014) 등의 저서가 있으며, 2002년부터 부산 영산대에서 가르치고 있다. 글 <서울&> 콘텐츠 디렉터 iwlee21@hani.co.kr 사진 조진섭 기자 bromide.js@gmail.com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