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은 밤 집 갈 땐 ‘노란조끼’와 함께”
사람& 또 하나의 가족, 최정화·박미향 구로구 안심귀가스카우트 대원
등록 : 2025-02-13 13:49
최정화(왼쪽), 박미향 안심귀가스카우트 대원이 근무지로 이동하기에 앞서 환하게 웃고 있다.
귀가 동행은 물론 방범대원 몫까지 “엄마, 개봉역 앞에 노란 조끼 입은 분들이 우리 집까지 데려다주신다니 걱정하지 마세요.” 최정화(54)씨가 안심귀가스카우트를 알게 된 건 2022년 겨울이었다. 대학입시 준비로 막차를 타는 딸아이 마중을 매일 갔었는데 어느 날 집안 어르신이 돌아가셔서 마중을 갈 수 없었다. 늦은 시각에 골목길을 혼자 걸어올 아이 걱정에 안절부절못하던 차에 뜻하지 않게 도움을 받았다. 그 일로 ‘나도 구민들에게 돌려드려야지’ 하는 마음으로 개봉역 안심귀가스카우트 활동을 시작했고 벌써 4년차다. “앱으로 동행 신청이 들어오면 도착 30분 전 약속 장소에서 미리 대기해요. 신청자를 만나면 2인1조로 집까지 동행하죠. 동행 신청을 안 했어도 우리 판단으로 동행을 권하기도 해요. 예를 들어 어두운 골목을 여학생이 혼자 걸어가는데 뒤에서 취객이 따라가는 경우가 있어요. 그러면 저희가 학생에게 다가가 ‘저희가 순찰 중인데 동행해드릴까요?’ 하고 물어봐요. 대부분은 고맙다고 하면서 같이 가자고 해요.” 동행을 원하지 않는 경우도 많단다. “요즘 젊은이들은 스마트폰 보면서 가는 사람도 많고 동행 자체가 싫다는 분도 있어요. 그런 분들은 굳이 따라가지 않고 멀리서 관찰하죠. 우리 활동에 대해 주민 대부분은 좋게 생각하세요.” 동행 신청하는 날마다 특징이 있다고 했다. “하루에 많으면 7~8건 동행할 때도 있고, 적을 때는 1~2건밖에 없을 때도 있어요. 요일별로는 금요일이 조금 더 많아요, ‘불금’ 이라고. 추운 날, 더운 날, 비 오는 날은 확실히 줄어요. 날씨가 좋을 때는 늘어나고요.” 주로 누가 서비스를 이용할까. “여성 직장인, 대학생, 학원 마친 중고생이 대부분이죠. 친구랑 같이 귀가하지 못하는 날, 가족이 마중 나오지 못한 날 같은 때 신청해요. ”
기억에 남는 일도 있다. “노란 조끼 입고 순찰하다 보면 방범대원이 해야 할 일을 하게 되거나 방범대원으로 오해받기도 해요. 한번은 트럭이 헌옷수거함을 들이받아 크게 부서졌는데 그냥 가길래 바로 경찰 신고했죠. 또 한번은 부부가 있었는데, 덩치가 큰 아내가 취해서 거의 못 걸을 정도였어요. 저희 대원들이 양쪽에서 부축해서 엘리베이터도 없는 5층까지 겨우 모셔다드렸어요. 집 나온 치매 어르신을 아드님에게 모셔다드린 적도 있고요.” 도움받은 주민이 많다보니 가는 곳마다 인사받는다. 도움받은 주민들은 어김없이 이들을 보고 ‘수고 많으십니다’ ‘고생 많으세요’ 한다고 한다. 학생들은 부모님에게 “집으로 데려다주신 분”이라고 대원들을 소개한다. 2023년에 비해 지난해 활동 건수가 적어진 점에 대해선 “‘(현장 권유는 하지 말고) 앱 신청만 받아라’ 해서 권유하지 않았고, 가까운 거리를 동행한 경우 아예 기록을 안 남긴 경우가 많았죠. 그러니 신청자가 적은 거로 보여서 앞으로는 빠짐없이 기록을 남겨야 겠다고 생각했어요”라고 설명했다.
안심귀가스카우트 인터뷰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