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심귀갓길 ‘사각지대’ 있으면 안 되죠”
초점& 구로구, 안심귀가스카우트 자체 예산 운영
등록 : 2025-02-13 14:16 수정 : 2025-02-13 14:18
지난 6일 안심귀가스카우트 대원들이 눈이 쌓인 길을 사전 점검하고 있다. 구로구 제공
구로디지털단지역에 2명씩 배치 구로구(구청장 직무대행 엄의식)가 2월부터 연말까지 주민들이 늦은 밤에도 안심하고 귀가할 수 있도록 ‘안심귀가스카우트’를 운영한다. 안심귀가스카우트는 2인1조로 구성된 대원들이 늦은 밤 귀가로 만약의 범죄에 노출될 수 있는 여성, 청소년들과 집까지 동행하는 서비스다. 대원들은 월요일 밤 10시부터 자정, 화~금요일에는 다음날 새벽 1시까지 활동한다. 신청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2월과 7~8월에는 월요일 휴무, 화~금요일은 밤 10시부터 자정까지 운영한다 ▶관련기사 https://www.seouland.com/arti/society/society_general/20156.html 대원들은 노란 조끼와 모자를 착용하며 노란 근무복에는 형광으로 ‘안심귀가스카우트’라고 적혀 있다. 근무시간 중에는 신분증을 목에 걸고 다닌다. 경광봉과 휴대용 안심벨 ‘헬프미’가 제공된다. 헬프미 버튼을 누르면 5초 이내 해당 지역 자치구 폐회로티브이(CCTV) 관제센터로 연결된다.
지난 6일 안심귀가스카우트 대원들이 눈이 쌓인 길을 사전 점검하고 있다. 구로구 제공
관제센터는 CCTV를 확인해 경찰 출동을 요청하는 등 즉시 대응한다. 늦은 귀가로 동행 서비스를 받으려면 지하철역이나 버스정류장 도착 30분 전 ‘안심이앱’으로 신청하면 된다. 구 관계자는 “시의 지원이 많이 줄었지만 구는 올해 안심귀가스카우트 대원 8명을 선발해 오류동역, 개봉역, 남구로역, 구로디지털단지역에 배치했다”며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대원들은 안심귀가 동행뿐만 아니라 우범지역인 유흥업소 인근, 인적이 드문 골목길, 학교, 독서실, 학원가, 긴급신고 다발 지역도 순찰한다”고 밝혔다. 여자건 남자건, 나이가 많든 적든, 한밤중 인적이 드문 골목길이나 외진 곳을 혼자 걸어갈 때면 등골이 오싹해지기 마련이다. 특히 쉽게 범죄의 표적이 되는 여성, 청소년의 경우 공포감은 더하다. 가족들은 외출한 가족이 문을 열고 집에 들어서는 모습을 보고서야 비로소 안심한다. 통계청이 지난해 11월 발표한 ‘2024년 사회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 사회가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30%에 미치지 못했다. 응답자들은 가장 큰 불안요인으로 ‘범죄’를 꼽았으며 경제적 위험, 국가 안보가 뒤를 이었다. 또 13살 이상 10명 중 3명은 밤에 혼자 걸을 때 불안하다고 했고, 특히 여성(44.9%)이 남성(15.8%)에 비해 3배 가까이 불안하다고 답했다. 여성들의 불안은 주로 인적이 드묾(26.9%), 가로등이나 CCTV 같은 안전시설 부족(15.8%)에서 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일 안심귀가스카우트 대원들이 눈이 쌓인 길을 사전 점검하고 있다. 구로구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