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소식

폭염·열대야 지역마다 달라 “맞춤형 대책 필요”

등록 : 2017-06-15 16:04
같은 서울이라도 폭염과 열대야의 양상이 지역마다 다른 것으로 조사됐다. 건물 밀집도가 높은 강남 3구와 영등포구, 양천구의 기온이 다른 자치구보다 더 높았다. 채정효 차세대도시농림융합기상사업단 실장은 지난 7일 서울시청에서 서울시와 서울연구원이 함께 연 ‘폭염 대응을 위한 서울시 정책 방향' 정책토론회에서 이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채 실장은 “도시 열섬 현상에 따른 기온 상승 추세가 뚜렷하다. 전 지구적으로 100년 동안 0.75도 올랐지만 서울, 대전, 대구, 광주, 울산, 부산 6개 대도시는 2배가 넘는 1.8도가 올랐다. 그러나 6개 대도시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폭염 양상이 조금씩 다르다”고 분석했다. 내륙에 있는 대구·광주 등 도시는 지난해 열대야일수보다 폭염일수가 더 많았다. 해안에서 가까운 서울·부산·인천은 열대야일수가 훨씬 더 많았다.

채 실장은 “육지는 빨리 뜨거워지고 빨리 식는 반면, 바다는 천천히 뜨거워지고 천천히 식기 때문이다. 그래서 서울에 폭염주의보가 발령되지 않은 날에도 열대야가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며 “서울시는 지역마다 지표 특성과 삶의 방식을 고려해 맞춤형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손창우 서울연구원 도시사회연구실 부연구위원은 지난해 8월 서울 시내에서 폭염 때문에 생긴 온열환자 수는 787명으로 7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10년 8월 265명, 2011년 8월 227명, 2012년 8월 427명, 2013년 8월 486명, 2014년 8월 234명, 2015년 8월 392명 등에 비해 월등하게 많고, 전년도보다 배 이상 뛴 것이다.

지역별로 보면 온도가 높은 강남 3구와 노인 환자가 많은 은평구에서 온열환자가 많았다. 노인·장애인 등 취약자들은 폭염 때 집에 머무는 확률(79.2%)이 일반인(38.4%)보다 배 이상 높았다.

손 부연구위원은 “무더위 쉼터는 취약자들에게 꼭 필요한 곳인데, 인지도는 취약자들이 일반인보다 더 낮았다”며 “서울시와 자치구가 무더위 쉼터에 대한 안내와 활용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서울시 자체 미기후 예측체계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미기후란 지표면에서 지상 1.5m 정도 높이까지 접지층의 기후를 뜻한다.

조항문 서울연구원 안전환경연구실 연구위원은 “서울시가 폭염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기온 차이를 반영하고, 시민의 보행 높이에서 기후 측정·예측, 폭염 대응 사업 효과 분석을 할 수 있는 미기후 예측체계를 세워야 한다. 또 다양한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하고, 폭염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도록 시민 역량을 키우는 방향으로 대책의 영역을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원낙연 기자 yanni@hani.co.kr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