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셰어링 프로젝트를 공동연구 중인 조재순(왼쪽) 교수와 서귀숙 교수.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우선 용어부터 정리돼야 할 것 같아요. 일부 구에서는 룸셰어링 사업이라고 하는데 룸메이트처럼 방을 같이 쓰는 개념이라 한지붕 세대공감 프로그램과는 다르거든요. 이 프로그램은 내가 사는 집에 다른 세대의 사람을 받아들인다는 의미에서 국제적인 기준에선 홈셰어링입니다.”
서귀숙 교수(숭실대 건축학부 실내건축 전공), 김주연 교수(숭실대 건축학부)와 함께 한국연대재단의 지원을 받아 3개년 홈셰어링 프로젝트를 공동작업 중인 조재순 교수(한국교원대)는 용어 정리부터 필요하다고 말했다. 요즘 젊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하우스셰어와도 다르다고 설명했다.
“하우스셰어는 공간적인 개념이고 홈셰어는 집주인이 부엌을 다른 사람에게 사용하도록 허용한다는 것, 나의 생활에 다른 사람이 들어오는 것이라는 점에서 서로 다릅니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동거조건을 시시콜콜 작성하는 스페인, 프랑스 등 외국의 사례에 비해 동거조건이 불명확하다고 지적하고, 이로 인해 가끔 동거인들끼리 오해가 생기기도 한다고 전했다.
조 교수와 서 교수는 임차인과 임대인 사이의 갈등을 줄이기 위해서 매뉴얼이 필요하다고 보고 관련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했다. 지금도 계약할 때 ‘공동생활규칙’ 같은 것을 작성하지만, 이보다는 훨씬 꼼꼼한 시행규칙(매뉴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하다못해 현관문을 열고 들어갈 때 신발은 어디다 넣어야 할지도 필요하고, 명시화할 수 있는 부분은 구체적으로 매뉴얼에 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 교수는 홈셰어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현재는 담당 공무원이 적극 어르신을 만나서 매칭시키고 사후관리도 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지적하고, 코디네이터가 그 역할을 적극적으로 대신해줄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궁극적으론 이 사업을 활성화시키면서도 그 취지를 유지하기 위해 언젠가는 비정부기구(NPO)가 사업을 맡는 게 바람직하다는 게 두 교수의 의견이다. 외국에서도 일부 사례를 제외하곤 비정부기구에서 홈셰어링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참여 어르신들이 관에서 하니까 안도감을 느끼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아요. 그렇지만 코디네이터 제도가 정착돼서 성과가 날 경우 경험자들이 비정부기구를 만들어 후속 활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두 교수는 현재 한지붕 세대공감 프로그램이 노인복지 문제와 주거안정 문제의 동시 해결을 기대한다는 점에서 노령화 대책 위주의 외국과 다른 점이 많다고 지적했다. 공급 활성화를 위해 집주인에 대한 보상을 지금보다 더 키우는 게 도움이 되지 않겠느냐는 기자의 질문에는 “세계 어느 나라도 홈셰어링에 금전적 보상을 해주는 나라는 없다”(조 교수)는 답변이 돌아왔다.
조 교수와 서 교수에 따르면, 홈셰어링이 필요한 배경으로 65살 이상 가구의 높은 주거 소유율(73.5%), 높은 노인빈곤율(48.4%)에다 대학생들의 심각한 주거난(서울 거주 청년의 주거빈곤율 22.8%, 서울 지역 대학 소재 10개 지역 평균 임대료 보증금 1400만원+월 임대료 50만원) 등이 꼽혔다.
김도형 기자 aip209@hani.co.kr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
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