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소식
사당·도봉·온수·수색 등 접경 12곳 서울의 ‘관문도시’로 재생
서울시, ‘보존+개발’ 투 트랙…50년 만에 정책 전환
등록 : 2018-03-29 15:25
사당, 채석장 일대 청년 특구 마련
도봉, 체육·문화·생태 복합단지로
온수, 문화·자연 어우러진 산업 관문
수색, 철도 중심 첨단 물류 거점화
서울과 경기의 접경 지역은 1970년대부터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막고 자연환경을 보호한다는 목적 아래 개발제한구역·시계경관지구로 지정돼 개발이 제한됐다. 이런 개발억제정책으로 폐기물·음식물 처리장 같은 기피시설과 불법 건축물이 난립했고 자연은 자연대로 훼손됐다. 그나마 개발제한이 해제된 곳들은 모두 주거지가 됐다.
지난 50년 동안 이어진 개발억제정책으로 서울의 ‘그림자’로 소외돼온 사당·도봉·온수·수색 등 서울·경기 접경 지역의 재생이 추진된다. 서울시는 구파발·개화·신정·석수·양재·수서·강일·신내 등 12개 접경 지역을 ‘관문도시’로 규정하고 각 지역 특성에 맞는 도시계획을 세워 재생하겠다고 최근 밝혔다. 50년 동안 이어온 ‘보존’ 위주의 관리 정책을 거점으로 육성하거나 자연성을 회복하는 ‘보존+개발’ 투 트랙 방식으로 바꾼다는 계획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관문도시 사업은 서울의 대표적 현안인 일자리 문제와 주거 문제에 좋은 해결책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사업을 가장 먼저 추진할 1단계 지역은 사당·도봉·온수·수색이다. 서울시는 이 가운데 먼저 사당 일대(사당역~남태령역)에서 관문도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이 지역은 최근 서울대~양재~수서~판교를 잇는 ‘수도권 창조 연구·개발(R&D) 벨트’의 새로운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지만, 1970년대 문을 닫은 채석장이 그대로 방치돼 안전과 경관 문제가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비어 있는 나대지에는 레미콘공장·자동차정비소·가스충전소 등이 들어설 움직임이 있어 주민들이 우려하고 있다.
서울시는 사당 전체 유동인구 가운데 20~30대 비율이 42%로 높은 점을 고려해 ‘청년 특구(특별성장구역)’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자연 보존이 필요한 지역은 확실하게 보존하고, 나머지는 일터(일자리)·삶터(주거)·쉼터(문화·여가·복지)가 어우러지는 ‘청년을 위한 거점도시’로 만든다. 지식산업센터·청년창업지원시설 등이 모인 일자리 인큐베이터(규모 2만8천㎡)와 청년·신혼부부 주택 200세대, 청년 문화·활동 공간 등이 들어선다. 출퇴근 시간대 교통 혼잡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통근·통학 버스 정차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사당역 주변 저류조 상부에는 ‘통근·통학버스 전용 정차장’을 만든다. 사당역 주변은 경기도에 있는 회사와 대학교로 가기 위한 통근·통학 버스가 많이 정차한다. 채석장 폐쇄 뒤 수십 년 동안 방치된 산림 절개지는 산사태 예방 작업을 거쳐 공공 조경 공간으로 관리한다. 나대지와 이용도 낮은 빈터가 많은 관악구 남현동 일대는 공공이 주도해 개발 사업의 속도를 낸다. 서울시는 올 상반기에 과천대로 일대 종합발전구상을 확정하고 하반기에 지구단위계획 결정 고시를 한 뒤 내년 안에 사업 승인을 받아 2020년에 공사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컨테이너·폐기물 처리장 등이 있는 도봉은 동북체육공원, 평화문화진지, 서울 창포원 등을 엮어 동북권 최대 규모(11만㎡)의 체육·문화·생태 복합단지로 키운다. 낡은 공장과 물류창고 거리가 된 온수에선 기계·금속, 물류, 정보통신기술(ICT), 문화 등 신산업을 유치해 새로운 산업 기반을 만든다. 폐철로에 셔틀기차를 도입하고 항동 푸른수목원과 산업유산도 활용한다. 서북권의 광역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는 상암·수색에는 코레일과 협력해 통일 시대를 대비하는 철도 중심 첨단물류기지(철도 기지창 터 포함 35만㎡)와 물류지원단지(주거시설과 연구·업무시설 등 10만㎡)를 만든다. 2단계 사업지는 신내·개화, 3단계는 신정·석수다. 나머지 관문도시인 수서·강일·양재·구파발에서는 현재 수서 역세권 개발사업, 강일 첨단 업무단지 등 지역 특성에 맞는 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서울시는 접경도시 재생을 위해 올해 상반기 안에 ‘서울 관문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종합계획(마스터플랜)’을 세우기로 했다. 진희선 본부장은 “관문도시 개발 과정에서 그린벨트 해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전제한 뒤 “다만 용도지역 상향 등으로 개발 밀도를 좀더 높일 수 있도록 고민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원낙연 기자 yanni@hani.co.kr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
서울시는 사당 전체 유동인구 가운데 20~30대 비율이 42%로 높은 점을 고려해 ‘청년 특구(특별성장구역)’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자연 보존이 필요한 지역은 확실하게 보존하고, 나머지는 일터(일자리)·삶터(주거)·쉼터(문화·여가·복지)가 어우러지는 ‘청년을 위한 거점도시’로 만든다. 지식산업센터·청년창업지원시설 등이 모인 일자리 인큐베이터(규모 2만8천㎡)와 청년·신혼부부 주택 200세대, 청년 문화·활동 공간 등이 들어선다. 출퇴근 시간대 교통 혼잡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통근·통학 버스 정차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사당역 주변 저류조 상부에는 ‘통근·통학버스 전용 정차장’을 만든다. 사당역 주변은 경기도에 있는 회사와 대학교로 가기 위한 통근·통학 버스가 많이 정차한다. 채석장 폐쇄 뒤 수십 년 동안 방치된 산림 절개지는 산사태 예방 작업을 거쳐 공공 조경 공간으로 관리한다. 나대지와 이용도 낮은 빈터가 많은 관악구 남현동 일대는 공공이 주도해 개발 사업의 속도를 낸다. 서울시는 올 상반기에 과천대로 일대 종합발전구상을 확정하고 하반기에 지구단위계획 결정 고시를 한 뒤 내년 안에 사업 승인을 받아 2020년에 공사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컨테이너·폐기물 처리장 등이 있는 도봉은 동북체육공원, 평화문화진지, 서울 창포원 등을 엮어 동북권 최대 규모(11만㎡)의 체육·문화·생태 복합단지로 키운다. 낡은 공장과 물류창고 거리가 된 온수에선 기계·금속, 물류, 정보통신기술(ICT), 문화 등 신산업을 유치해 새로운 산업 기반을 만든다. 폐철로에 셔틀기차를 도입하고 항동 푸른수목원과 산업유산도 활용한다. 서북권의 광역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는 상암·수색에는 코레일과 협력해 통일 시대를 대비하는 철도 중심 첨단물류기지(철도 기지창 터 포함 35만㎡)와 물류지원단지(주거시설과 연구·업무시설 등 10만㎡)를 만든다. 2단계 사업지는 신내·개화, 3단계는 신정·석수다. 나머지 관문도시인 수서·강일·양재·구파발에서는 현재 수서 역세권 개발사업, 강일 첨단 업무단지 등 지역 특성에 맞는 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서울시는 접경도시 재생을 위해 올해 상반기 안에 ‘서울 관문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종합계획(마스터플랜)’을 세우기로 했다. 진희선 본부장은 “관문도시 개발 과정에서 그린벨트 해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전제한 뒤 “다만 용도지역 상향 등으로 개발 밀도를 좀더 높일 수 있도록 고민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원낙연 기자 yanni@hani.co.kr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