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서울 ‘따릉이’와 평양 ‘려명’이 만나는 날
4·27 남북 정상회담 이후 서울-평양 자전거 교류 관심 높아져
등록 : 2018-04-26 15:08
박원순 시장 교류 확대 대비 강조
공공자전거, 대표적 교류 영역
평양도 따릉이와 비슷한 정책 운영
제3차 남북 정상회담 이후 서울시가 다양한 분야에서 대북 교류를 확대해나갈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에서, 서울-평양 자전거 교류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남북 정상회담 이후 서울시의 대북 교류 확대는 박원순 서울시장의 ‘의지’에서도 확인된다.
박 시장은 지난 23일 서울시 간부들과 한 ‘남북 정상회담 지원 점검회의’에서 “문재인 정부가 집권 초기에 남북 정상회담을 하게 됨에 따라 앞으로는 굉장히 큰 변화가 더 있을 것 같다”고 전망하며 “서울시도 이에 대비하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시장은 구체적으로 “지금 우리가 생각도 바꿔야 하고 준비도 철저히 해야 하고, 조직도 새로 정비해야 한다”며 대북 협력 관련 조직을 확대할 것임을 내비쳤다.
서울시는 남쪽의 대표 도시이기 때문에 다양한 대북 교류 자원을 가지고 있다. 그 가운데 자전거 정책 또한 교류협력을 주요하게 검토해볼 만한 영역이다. 현재 평양시도 서울시와 마찬가지로 자전거에 관심을 높이면서, 서울시와 비슷한 자전거 정책들을 내놓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영역이 ‘공유 자전거 정책’이다. 서울시가 2015년 공유 자전거 정책인 ‘따릉이’를 시작한 데 이어, 평양시가 올해 1월부터 ‘평양판 따릉이’ 제도를 광복거리에서 시작했다. 평양시 서쪽에 있는 광복거리는 1992년 3만여 가구의 아파트가 건설되는 등 아파트가 밀집한 평양의 대표 주거 지역이다. 광복거리는 또 평양-남포 간 고속도로인 청년영웅도로와 연결되는 교통의 요충지다. 이렇게 광복거리가 거주 인구가 많고 교통이 편리한 탓에 평양 따릉이의 최초 시행 장소로 선정된 것으로 보인다. 북한 소식을 세계에 전하는 총련계 일간지 <조선신보>는 지난 3월15일치 ‘자전거공동리용체계에 의한 임대봉사’ 기사에서 “현재 광복거리에는 5개의 자전거 임대소가 있다”고 보도했다. 평양 따릉이는 ‘려명’이라는 자전거카드를 발급받아, 임대소에 있는 카드인식기에 인식시켜 자전거를 이용한다. 서울 따릉이와 마찬가지로 5개 임대소 중 어디서든 임대할 수 있고, 어디서든 반납할 수 있다. 다만 1개월·6개월·1년 단위 이용권을 끊는 서울 따릉이와 달리 타고 난 뒤 바로 임대소에서 정산해야 한다. 평양자전거임대관리소 라광철 실장(33살)은 <조선신보> 평양 특파원과 한 인터뷰에서 평양 따릉이 설치 이유를 “평양시민들의 교통상 수요를 보장하고 건강증진에도 이바지하며 도시의 생태환경을 보호할 목적”이라고 밝혔다. <조선신보>는 평양 따릉이 이용자가 계속 늘고 있으며, “출근길과 퇴근길에 리용하는 사람들은 물론이고 년로자들도 운동 삼아 매일 타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라 실장은 “늘어나는 수요에 맞게 자전거임대봉사의 면적을 늘리고 봉사방법을 더욱 혁신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평양의 다른 지역으로도 평양 따릉이를 늘려가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평양시의 자전거길도 확대되는 추세다. 2015년 7월14일치 <조선신보>에 따르면, 당시 “평양국제비행장으로부터 3대혁명전시관까지의 구간을 비롯하여 평양시내 중심거리에 새 자전거길이 건설”되었다. 평양에는 이 자전거길뿐만 아니라 “수십개 로선의 자전거길”이 이미 있으며, 그 길이도 모두 백수십㎞에 이른다. 그러나 평양 자전거길은 서울 자전거길과 달리 차도가 아닌 인도에 설정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조선신보>가 평양 자전거길과 관련해 “자전거만이 통행할 수 있도록 자전거길과 걸음길(인도)을 흰색선으로 구분”했다고 한 데서 확인할 수 있다. <조선신보>는 이어 “평양시민들 속에서 ‘선이 명백하니 자전거와 사람이 부딪치는 위험이 없고 안전하다’ ‘아침의 혼잡한 출근길에서도 정신적 부담을 덜 느끼게 되었다’ 등 새 자전거길에 대하여 적극 환영하는 목소리가 높다”고 시민 반응을 전했다. 서울시도 지난 8일 종로1가~종로5가에 2.6㎞ 구간에 이르는 ‘자전거 전용차로’를 새로 만드는 등 자전거길 확대를 위해 애쓰고 있는 상황이다. 남북의 자전거 교류와 관련해 김미정 서울시 보행자전거과장은 “자전거는 남북 모두 정치적 색깔 없이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남북의 자전거 정책 교류도 어렵지만은 않으리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서울과 평양이 자전거 정책 교류로 더욱 진전된 자전거 정책을 만들기를 기대해본다. 김보근 기자 tree21@hani.co.kr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
북한 주민들이 지난 3월 평양 광복거리의 공유자전거 대여소 근처에서 평양 따릉이를 타고 지나간다. 오른쪽 작은 사진은 평양 따릉이를 이용할 수 있는 ‘려명’ 카드. 제공
대표적인 영역이 ‘공유 자전거 정책’이다. 서울시가 2015년 공유 자전거 정책인 ‘따릉이’를 시작한 데 이어, 평양시가 올해 1월부터 ‘평양판 따릉이’ 제도를 광복거리에서 시작했다. 평양시 서쪽에 있는 광복거리는 1992년 3만여 가구의 아파트가 건설되는 등 아파트가 밀집한 평양의 대표 주거 지역이다. 광복거리는 또 평양-남포 간 고속도로인 청년영웅도로와 연결되는 교통의 요충지다. 이렇게 광복거리가 거주 인구가 많고 교통이 편리한 탓에 평양 따릉이의 최초 시행 장소로 선정된 것으로 보인다. 북한 소식을 세계에 전하는 총련계 일간지 <조선신보>는 지난 3월15일치 ‘자전거공동리용체계에 의한 임대봉사’ 기사에서 “현재 광복거리에는 5개의 자전거 임대소가 있다”고 보도했다. 평양 따릉이는 ‘려명’이라는 자전거카드를 발급받아, 임대소에 있는 카드인식기에 인식시켜 자전거를 이용한다. 서울 따릉이와 마찬가지로 5개 임대소 중 어디서든 임대할 수 있고, 어디서든 반납할 수 있다. 다만 1개월·6개월·1년 단위 이용권을 끊는 서울 따릉이와 달리 타고 난 뒤 바로 임대소에서 정산해야 한다. 평양자전거임대관리소 라광철 실장(33살)은 <조선신보> 평양 특파원과 한 인터뷰에서 평양 따릉이 설치 이유를 “평양시민들의 교통상 수요를 보장하고 건강증진에도 이바지하며 도시의 생태환경을 보호할 목적”이라고 밝혔다. <조선신보>는 평양 따릉이 이용자가 계속 늘고 있으며, “출근길과 퇴근길에 리용하는 사람들은 물론이고 년로자들도 운동 삼아 매일 타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라 실장은 “늘어나는 수요에 맞게 자전거임대봉사의 면적을 늘리고 봉사방법을 더욱 혁신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평양의 다른 지역으로도 평양 따릉이를 늘려가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평양시의 자전거길도 확대되는 추세다. 2015년 7월14일치 <조선신보>에 따르면, 당시 “평양국제비행장으로부터 3대혁명전시관까지의 구간을 비롯하여 평양시내 중심거리에 새 자전거길이 건설”되었다. 평양에는 이 자전거길뿐만 아니라 “수십개 로선의 자전거길”이 이미 있으며, 그 길이도 모두 백수십㎞에 이른다. 그러나 평양 자전거길은 서울 자전거길과 달리 차도가 아닌 인도에 설정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조선신보>가 평양 자전거길과 관련해 “자전거만이 통행할 수 있도록 자전거길과 걸음길(인도)을 흰색선으로 구분”했다고 한 데서 확인할 수 있다. <조선신보>는 이어 “평양시민들 속에서 ‘선이 명백하니 자전거와 사람이 부딪치는 위험이 없고 안전하다’ ‘아침의 혼잡한 출근길에서도 정신적 부담을 덜 느끼게 되었다’ 등 새 자전거길에 대하여 적극 환영하는 목소리가 높다”고 시민 반응을 전했다. 서울시도 지난 8일 종로1가~종로5가에 2.6㎞ 구간에 이르는 ‘자전거 전용차로’를 새로 만드는 등 자전거길 확대를 위해 애쓰고 있는 상황이다. 남북의 자전거 교류와 관련해 김미정 서울시 보행자전거과장은 “자전거는 남북 모두 정치적 색깔 없이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남북의 자전거 정책 교류도 어렵지만은 않으리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서울과 평양이 자전거 정책 교류로 더욱 진전된 자전거 정책을 만들기를 기대해본다. 김보근 기자 tree21@hani.co.kr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