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예술이 젊은 예술가들에게 어떤 유산을 남겼을까?” 이 질문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한 정동극장의 ‘창작ing 시리즈’는 올해의 마지막 작품으로 공옥진의 삶의 궤적을 찾는 <주름이 많은 소녀>를 30일까지 무대에 올린다. 이번 작품은 댄스씨어터의 선두 주자 류장현과 전통·연극·뮤지컬·인디음악 등 장르를 넘나들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이자람이 함께 우리 삶 속에 깊게 파고든 희대의 광대 ‘공옥진’을 조망한다. 무명 저고리와 쥘부채로 서민의 웃음과 눈물을 자아냈던 공옥진(1931~2012)이 어떻게 무대로 소환됐을까. 연출가는 “더 이상 잊히고 사라지기 전에”라며 딱 잘라 대답한다. 창무극의 선구자로, 당대 최고의 예인이었던 공옥진은 일제강점기와 6·25, 민주화운동을 겪으면서 한국 현대사와 밀접하게 맞닿은 인물이다. 그러나 1인 창무극의 명맥은 끊어졌고, 그는 기억에서 사라져가는 예술가가 되었다. 이에 <주름이 많은 소녀>는 공옥진의 춤과 삶을 매개로 이 시대 광대의 삶을 이야기한다. 작품의 시작은 11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류 연출가는 2007년 국립무용단의 기획 공연 <보둠어 가세!>를 통해 공옥진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고, 창무극을 소재로 한 작품을 무대에 올렸다. 당시 공옥진을 실제로 만났던 일화를 이렇게 기억한다. “전통을 공부하면서 그녀를 조명하게 된 것은 작품에 등장하는 소재가 박제된 것이 아니라 당시 사회상을 반영한 이야기였기 때문이다.” 일명 ‘병신춤’으로 기억되는 공옥진의 춤과 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표정은 무엇을 의미할까. “그것은 공옥진의 춤을 단순히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유산을 기억하는 젊은 소리꾼이 세상을 경험하고 느낀 감각을 자신의 이야기로 전달하는 굿과 같은 놀이판입니다. 지금 여기에 없으니 함께 있는 것처럼 놀다 가시라는 뜻이죠.”
장소: 중구 정동 8-11 정동극장
시간: 화~토 저녁 8시, 일 오후 3시
관람료: R석 4만원, S석 3만원
문의: 02-751-1500, jeongdong.or.kr
이규승 서울문화재단 미디어소통실 미디어팀장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
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