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일부러 연출한 듯 찍은 북한 사진

북한 사진집 <붉은 잉크> 낸 막스 핑커스

등록 : 2019-01-03 16:03
<붉은 잉크> ‘라이카상’ 대상 수상

북한 실체 포착 어렵자 플래시 터뜨려

이미지가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는

느낌을 전하는 독특한 기법 사용

평양에 신축된 북한 고아 교육시설 평양초등학원 학생들.

“사람들이 이 작업에 대해 어디까지가 연출된 것인지, 실제와 어느 정도 다른지 물어보곤 합니다. 저도 솔직히 답을 모르겠습니다. 제게 북한에서의 작업은 혼란스러운 경험이었습니다.”

벨기에 사진가 막스 핑커스(30)가 신간 <붉은 잉크>(red ink)를 들고 서울을 찾았다. 2017년 8월 미국 시사주간지 <뉴요커>의 동행 사진가로 발탁돼 4일 동안 평양과 개성, 디엠제트(DMZ·비무장지대) 취재를 다녀온 막스 핑커스는 당시 촬영한 북한 사진 <붉은 잉크> 연작으로 국제 사진 공모전 ‘2018 라이카 오스카 바르낙 어워드’에서 대상을 받았다. 성수동에서 열렸던 ‘오! 라이카, 시대정신을 만나다’ 사진전 참석차 서울에 들른 그를 2018년 12월2일 저녁 7시 종로구 사진책방 이라선에서 만났다. 서른 명 남짓의 독자들이 그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 모였다.

막스 핑커스


막스 핑커스는 “책 제목 <붉은 잉크>는 슬로베니아 출신 철학자 슬라보이 지제크의 <실재계 사막으로의 환대>에 실린 동독의 오래된 농담에서 따왔다”고 말문을 열었다. 내용을 요약하면, 동독의 노동자가 일자리를 구하러 시베리아로 떠나는데 편지가 검열될 것을 알고 ‘파란 잉크로 쓰면 사실, 붉은 잉크로 쓰면 거짓’이란 암호를 친구들과 정한다. 훗날 “모든 것이 훌륭해. 단지 내가 구할 수 없는 건 붉은 잉크야”라고 파란 잉크로 편지를 적어 보냈다는 이야기다. 이 상황이 북한에서 작업한 자신의 환경과 비슷했다고 한다.

“한 번도 가본 적 없는 곳. 항상 흥미가 있었던 북한이었으니, 처음 <뉴요커> 의뢰를 받고 기뻤습니다. 그동안 제가 한 일을 인정받은 것 같았죠. 하지만 먼저 북한을 다녀온 사진가들의 작업을 연구하며 북한을 있는 그대로 찍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달았어요. 검열에 대한 일종의 미학적 전략이나 신호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막스가 택한 방법은 ‘인공조명’ 즉 다양한 플래시 활용이었다. 스튜디오에서 촬영하는 패션·광고 사진처럼, 강한 플래시를 터뜨려 훗날 사진을 보는 사람들이 ‘일종의 연출된 장르’이자 ‘사실이 아닐 수 있다는 신호’를 이미지 속에서 읽을 수 있으리라 기대했다. 막스는 “마치 ‘붉은 잉크’ 농담처럼 모순을 극대화해보고자 했다”고 덧붙였다. 총 15점의 사진을 <뉴요커>에 싣고도 아직 수많은 이미지가 남았고, 이를 엮은 <붉은 잉크>는 자신이 운영하는 벨기에 독립 출판사에서 2018년 10월 인쇄해 선보였다. 장면을 조합한 막스의 위트를 볼 수 있다.

북한에서는 ‘조국해방기념일’로 부르는 광복절(8월15일)에 능라 돌고래 수족관을 찾은 가족들.

막스가 북한 땅을 처음 밟은 2017년 8월은 북-미 긴장 관계가 한껏 고조된 상황이었다. 막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로켓맨’이라 할 때다. 저 자신과 촬영 보조인 아내, 미국인 기자까지 북한에 간 총 3명의 일행을 정부 관료 2명이 밀착해 안내했다. 빠듯한 일정 속에서 많은 박물관과 전시관 등 북한이 보여주고 싶은 역사를 봤다”며, “그 가운데 새로 지은 보육원을 방문했을 때가 인상적이었다. 김정은 위원장이 손을 댄 담요나 의자 등 ‘흔적’을 전시한 공간을 보며 이 모든 것이 언론사 방문을 위해 잘 준비되어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기존엔 북한 정치선전물이나 깃발 등을 촬영하려는 아이디어도 있었지만, 불가능하다는 걸 현지에 도착해 바로 알았습니다. 이 사진집에는 어떻게 보면 무의미하게 여겨지는 사진들도 많이 담았습니다. 소파의 디테일, 식사 중인 접시 등도 자유롭게 찍었는데 모순적인 자유로움이었어요. 북한에서 제 사진에 대한 검열은 전혀 없었습니다. 이미 옆에서 보고 있었고 모든 것이 잘 준비된 상태였기 때문입니다. 제지와 위협은 없었지만 정신적인 패닉이 있었습니다. 여권은 압수된 채 전화나 대화 등 소통이 불가능했기 때문이죠.”

지하철로 통근하는 시민들, 려명거리의 새 건물들, 거리를 걷는 여성들 등 평양 이미지들은 무엇 하나 견줄 수 없이 소중하다고 했다. 그 가운데 막스의 기억에 남는 순간은 버스 창문 너머 사람들을 찍은 경험이다. “대부분 차로 이동하면서 자동차 창밖으로 버스를 찍을 수 있었는데, 한번은 링플래시를 써서 버스 안쪽 공간까지 밝게 비추어 찍었다. 버스 속 어르신들 반응이 좋았다. (전과 달리) 즉흥적이고 자연스럽게 찍혔다”고 말했다.

버스로 통근하는 평양 시민들. 막스 핑커스 제공

막스는 서울과 평양을 비교하는 독자들의 질문엔 말을 아꼈다. “비교를 통해 우위를 논하는 건 위험하다고 생각하고, 오늘날 북한을 제외하곤 모든 나라가 소비주의와 자본주의로 비슷해진 상황이라 굳이 비교할 필요를 못 느낀 것 같다”며 “마지막 공산주의 국가를 눈으로 본다는 건 사진가로서 놀라운 경험이었고, ‘훗날 한반도가 통일이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를 주제로 작업을 해보고 싶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글·사진 전현주 객원기자 fingerwhale@gmail.com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