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작가의 해먹거나 사먹거나
우래옥의 참맛, 일관성
평양냉면
등록 : 2016-06-23 15:20 수정 : 2016-06-24 13:23
우래옥 평양냉면
양념과 조미료에 좌우되는 음식이 아니다 보니 단맛, 짠맛, 매운맛, 지방 맛 같은 게 없다. 면 맛과 육수 맛 딱 그뿐이다. 슴슴하니, 간간하니, 담백하니 해 봐도 결국 면 맛과 육수 맛이다. 그래서 맛 관리가 어렵다. 내로라 하는 평양냉면집들이 계절마다, 인원 따라, 맛이 달라지는 이유다. 신흥 명가들에 사람이 몰리기 시작하면 속절없이 맛이 떨어지는 이유기도 하다. 주방의 상태와 요리하는 이의 수고가 그대로 한 그릇에 거울처럼 투명하게 비치는 음식이 바로 평양냉면이다. 그래서 아무나 만들 수도 없지만, 평판을 유지하긴 더욱 어렵다. 게다가 입맛 까다로운 이들을 상대하기 때문에 조금만 미끄러져도 평판에 치명상을 입기 마련이다. 이 일관성의 으뜸은 내가 보기에 주교동 우래옥이다. 언제 가도 십여 년 전 처음 갔던 그때의 맛이 떠오른다. 노란빛 감도는 면을 젓가락으로 집는다. 입에 넣는다. 툭툭 끊기는 메밀 면을 가득 품는다. 그릇을 들어 적당히 시원한 육수를 후루룩 들이켠다. 배와 절인 무 등 고명이 적은 편도 아닌데 육향이 치고 올라온다. 다시 그릇을 내려놓고 젓가락질에 가속도를 붙인다. 채 면발을 다 삼키기도 전에, 또 새로운 면발을 입에 넣고 싶은 것이다. 정신을 차린다. 그릇이 갓 설거지를 끝낸 듯 깨끗이 비워졌지만 충만감보다는 아쉬움이 더하다. 이 맛, 이 기쁨을 좀 더 누리고 싶다는 심원한 욕심이 아귀의 그것처럼 요동친다. 그것이 첫 우래옥의 느낌이자, 마지막 느낌이었다. 계절이 바뀌든, 주방장이 교체되든 우래옥 냉면은 이차방정식을 풀기 위한 근의 공식처럼 한결같고 정확하다. 앞으로도 또 다른 명가들이 간판을 올릴 것이다. 그때마다 깃발을 꽂으러 원정을 떠날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우래옥을 영원히 떠날 수는 없다. 그때마다 저 문장들을 그대로 사용해서 그 맛을 계속 묘사할 수 있기를 바랄 뿐이다. 글·사진 김작가 음악평론가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