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예술로 사회적 문제 풀어낼 수 있어야”

7월10일까지 수림아트센터에서 ‘Broken Reality’ 전시하는 시각예술가 오묘초

등록 : 2020-07-02 16:18 수정 : 2020-07-06 11:56
‘가짜뉴스’를 주제로 홀로그램 선보여

올해 ‘수림미술상’ 최종 후보로 선정

쪽방촌·여관·DMZ 등 이색공간 전시

“나의 예술이 문제 해결의 단초 되길”

올해 ‘수림미술상’ 최종 후보에 선정된 오묘 초 작가가 자신의 작품 앞에 앉아 있다. 정용일 기자 yongil@hani.co.kr

‘무엇을 어떻게 그릴 것인가.’

많은 예술가가 자문하는 주제다. 저마다 내놓은 답은 다르지만 영국 출신 시각예술가 데이비드 호크니는 “결국 인간의 삶 속에 작품을 스며들게 하는 건 예술가만의 시각과 깊이에서 시작된다”고 믿었다. 실제로 그는 사진의 사실성에 주목하면서도, 자신의 관점으로 재해석한 팝아트 등 다양한 스타일의 작품을 선보이며 세계적인 거장의 반열로 올라섰다.

국내에도 호크니처럼 세상을 새롭게 해석한 예술로 국내외 평단의 눈길을 끄는 젊은 작가가 있다. 시각예술가 오묘 초(조정현)씨는 사회에 감춰진 이면을 조명하는 작업으로 유명하다. ‘오묘 초’는 작가명이다. 그가 대학 시절 아이슬란드의 오로라를 주제로 작업한 작품을 보고 누군가 “profound and mysterious”(오묘하다)라고 평한 게 인상에 남아 작가명으로 정했다고 한다. 예술계에서 이른바 ‘엘리트’ 코스로 불리는 영국 골드스미스대학에서 순수미술을 전공한 그는, 독특한 이름처럼 졸업 뒤 제도권을 벗어난 행보를 해왔다. 우선 전시공간이 남다르다. ‘고급’ 갤러리보다는 창신동 쪽방촌, 을지로 등 다양한 일상의 공간을 택했다. 이유는 뭘까.


오묘 초 작가의 조각 작품 ‘Broken Reality’

“작품이 공간이라는 현실과 만날 때 비로소 유의미한 주제가 나타난다.” 6월24일 김희수기념수림아트센터 아트갤러리에서 진행한 <서울&> 인터뷰에서 그는 이렇게 말했다. 올해 ‘수림미술상’ 최종 후보에 선정돼 이곳에서 ‘가상과 현실 세계의 접점에 있는 현대사회’를 주제로 한 영상·조각 작품 를 7월10일까지 전시 중이다. 수림미술상은 참신한 예술적 시각을 추구하는 젊은 작가에게 주는 상이다. 이번 전시도 그답게 전시장 중앙보다는 구석 자리를 택했다.

그가 전시한 대표적인 공간으로는 종로구 창신동에 있는 ‘시대여관’이 꼽힌다. 과거 쪽방촌에 있는 여관이었다가 지금은 폐업한 곳이다. 작가는 이곳에서 2018년 10~11월 ‘언급되지 않을 것들의 흔적’이라는 주제로 설치 작품과 동명의 소설을 선보였다. 몸 하나 간신히 누울 방, 무너진 벽, 마치 나무의 나이테처럼 겹겹이 발라진 벽지를 바라보며, 작가는 “벽지 한 겹마다 누군가의 인생이 있었다”고 회상했다. 삶이 녹아든 공간에 감히 작품을 거는 것이 조심스러워, 공간을 이해하고자 쪽방촌 근처에 숙소를 구해 석 달간 머물렀다고 한다. 원래 그가 상상했던 건 ‘가난하지만 서로 정을 나누는 모습’이었다. 하지만 현실은 달랐다고 한다. 그와 대화를 나눴던 사람들은 하나같이 그곳을 벗어나는 꿈만을 얘기했다. 이후 작가는 이 공간에서 소통의 좌절을 느꼈던 감정을 소설과 사운드, 조각을 병합해 퍼즐 형식의 작품을 만들었다. 부제는 ‘소라게’였다. 소라게는 껍데기 없이 태어나 평생 집을 14번 바꾼다. 이 과정에서 더 큰 껍데기를 사수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싸운다. 작가는 말한다. “언제부턴가 현대인은 소라게처럼 사는 거 같다. 평수를 넓혀가는 과정에서 이웃과의 소통은 줄어든다. 그 안타까운 부재를 말하고 싶었다.”

현재 그의 작업실은 중구 을지로에 있다. 오래된 인쇄소, 전자 상점, 철공소 등 역사적 의의가 있는 이 일대가 최근 재개발 건으로 논란이 된 적 있다. 이에 작가는 지난해 10월 을지로에 있는 날것의 공간을 그대로 살린 ‘N/A’ 갤러리에서 ‘TAXIDERMIA: 택시더미아, 박제된 이미지만 살아남는 사회현상’을 주제로 전시를 선보였다. 당시 그가 주재료로 삼은 ‘도무송’은 을지로 일대 인쇄소에서 매일 수천 개씩 버려지는 나무판이다. 버려지는 것을 통해 예술을 선보임으로써 을지로의 역사를 기록하려고 했다고 한다.

이번 전시에서도 홀로그램을 사용한 이색 작품이 등장한다. 전원을 내리는 순간 신기루처럼 사라지는 영상을 전면에 내세웠다. 그에 따르면 ‘최근 지하철을 타고 가다가 고개를 들었는데 주변인 모두 스마트폰을 보고 있었다’고 한다. 뉴스가 쏟아지는 세상이 됐다. 그는 이를 꼬집으며 “이번 전시에선 관객이 누워 홀로그램을 바라볼 수 있게 했다. 가짜뉴스 등 정보를 피할 수 없는 무력한 현실을 나타냈다”고 덧붙였다. ‘홀로그램처럼 시각적으로는 존재하지만,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사람들은 가볍게 보고 믿는다’고 그는 우려한다.

자각이 있어야 답을 찾으려고 시도하기 마련이다. 관객이 ‘범람하는 정보에 출구를 잃었다’는 느낌을 받았으면 하는 게 그의 바람이다. 작가는 ‘수동적으로 정보를 받아보는 삶에서 탈출하자’고 권한다.

이렇듯 그의 전시에서는 언제나 ‘메시지’가 등장한다. ‘모든 작품에 사회적 맥락을 넣은 이유’를 묻자 “예술가로서 가져야 할 사명감 때문”이라고 그는 강조한다. 그래서일까. 그의 다음 전시는 `비무장지대’(DMZ)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강원도·경기도·인천광역시가 주관하는 문화 예술 프로젝트 ‘DMZ문화예술삼매경’(일시 미정)에서 ‘평화’를 주제로 미디어아트를 선보인다.

끝으로 앞으로 전시하고 싶은 공간이 어딘지 물었다.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홍콩’ 등을 꼽는다. “나의 예술이 답이 될 수 없겠지만, 문제 해결에 단초가 되길 바란다.” 예술의 본분을 강조하는 그의 눈이 빛나는 순간이었다.

김포그니 기자 pognee@hani.co.kr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