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소식
“신부님, 세 그릇 먹었습니다”…3천원 김치찌개, 4년간 5만 청년 이용
이문수 신부가 운영하는 성북구 정릉동 청년밥상 ‘문간’ 운영 4주년 맞아
등록 : 2021-12-30 16:22 수정 : 2021-12-31 16:41
성북구 정릉동에 있는 청년밥상 ‘문간'은 누구든 3천원짜리 김치찌개로 부담 없이 한 끼를 해결할 수 있는 식당이다. 2017년 12월 문을 연 뒤 4년 동안 5만 명 이상의 청년이 다녀갔다. 식당 입구 왼쪽 벽에 붙어 있는 300여 개의 포스트잇. 감사 인사, 응원 글 등 내용이 다양하다.
문간 식당에서 손님들이 식사하는 모습.
“신부님, 오늘은 한 그릇‘만’ 먹었습니다!” “왜요? 많이 드시지….” 청년밥상 ‘문간’ 식당 문 왼쪽 벽에 붙어 있는 포스트잇의 글귀에 식당지기 이문수 신부(글라렛선교수도회)가 댓글을 달았다. 색색깔의 포스트잇 300여 개가 빼곡하게 벽을 뒤덮고 있다. 감사 인사뿐만 아니라 서로를 응원하는 말, 이루고 싶은 꿈, 자신과의 약속 등 글귀 내용도 다양하다. 문간은 청년들이 주머니가 가벼워도 걱정 없이 찾아와 든든한 한 끼를 먹으며 편히 쉬어갈 수 있는 곳이다. 4년 전 이맘때 성북구 정릉시장의 2층짜리 건물 위층에 자리 잡았다. 그동안 청년 5만 명 정도가 찾았다. 메뉴는 김치찌개 딱 하나만 있고 바깥에 간판은 따로 걸지 않았다. 주위 가게들에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한 마음에서다. 이 신부는 식당 운영을 이어올 수 있었던 것은 ‘돈보다 마음이 모여서’라고 한다. 기부하겠다며 돼지저금통을 들고 온 꼬마 손님, 손님들의 밥값을 모두 계산하고 떠난 50대 손님, 응원하러 지방에서 와준 손님들을 마주했다. 청년들은 처음엔 “어떻게 모르는 사람들의 밥값을 대신 내줄 수 있을까요”라고 의아해했다. 이제는 “전 직장도 다니니 조금 더 내도 될 것 같아요”라며 더 많은 금액을 식사비로 내고 가는 청년도 많아졌다. 문간 입구 오른쪽 벽엔 문간 설립 취지문 액자가 걸려 있다. 가파른 계단을 올라 들어서면 오른쪽엔 식당, 왼쪽은 북카페이다. 한 층 더 옥상으로 올라가면 정릉천과 북한산이 한눈에 들어온다. 이 신부가 청년들에게 선사하고 싶은 정경이다. 올해는 조경 전문회사 후원으로 옥상이 루프톱 공간으로 꾸며졌다. 얼마 전 핼러윈 이벤트도 열었다. 이 신부는 매일 아침 ‘제게 도움이 필요한 청년들을 보내주세요’라고 기도한다. 힘든 청년들의 손을 잡고 일으켜 걸을 수 있게 도와주고 싶어서다. 점점 더 많은 청년이 그에게 고민을 털어놓는다. 그는 청년들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밥을 대접하고, 만약 경제적인 요인이 클 경우 문간에서 일해보지 않겠느냐고 제안한다.
3. 올해 한 조경회사의 후원으로 옥상을 루프톱 공간으로 꾸몄다. 4·5. 지난 6월 이화여대 인근에 문을 연 2호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