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쏙 과학
빨라지려면 버려라! ‘우주 향한 꿈’ 이루는 그날까지
㉝ 국립과천과학관 누리호 기획전시에서 배우는 ‘운동량 보존 법칙’
등록 : 2022-06-23 16:32
누리호 1차 발사 때 쓰인 75급 액체로켓엔진 실물이 국립과천과학관 중앙홀에 전시되어 있다.
오는 8월엔 ‘달 탐사선’ 달에 보낼 예정 지난 21일 발사에 성공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 누리호 발사일이 가까워지면서 관련 뉴스가 늘자 열 살짜리 딸아이의 질문도 늘었다. “로켓 발사 때 불이 막 뿜어져 나오잖아. 근데 왜 로켓이랑 발사대는 불에 안 타?” “불꽃이랑 같이 연기 올라오는 거 봤지? 그게 실은 수증기야. 불붙지 말라고 물을 뿌리거든.” “근데 왜 로켓을 쏴?” “인공위성을 궤도에 올리려고. 그래서 로켓은 발사체라고도 불려.” “근데 왜 인공위성은 지구로 안 떨어져?” “궤도 위에 있어서 그래. 거기선 지구가 인공위성을 끌어당기는 중력이랑 인공위성이 빙글빙글 지구를 돌면서 생기는 원심력이 같아서 평형을 이루거든.” 답하고 나서 의문이 떠올랐다. 원심력이 생기려면 원운동을 해야 한다. ‘근데’ 로켓엔진을 떨구고 궤도로 들어간 인공위성은 무슨 힘으로 원운동을 하는 걸까. 혹시 아이한테 틀린 말을 한 건 아닐까. 국립과천과학관 누리호 기획전시와 유튜브 콘텐츠에서 답을 얻었다. “우리가 학교에서 원심력과 중력이 평형을 이뤄서 인공위성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배우기가 쉬운데, 엄밀하게 말하면 맞는 소리가 아니에요.” ‘우주를 향한 꿈, 누리호’ 강연에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문인상 책임연구원(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아카데미 센터장)이 말했다. 그의 설명을 더 들어보자. “속도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인공위성이 궤도에 진입한다는 건 어떤 위치에 올라가서 그 위치에서 돌 때 필요한 속도를 가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는 공 던지기로 그 원리를 설명했다. 지구는 둥글다. 그래서 공을 던지면 언젠가는 지상으로 떨어진다. 아주 세게 던지면 그 공이 지구 반대편에 떨어질 수도 있다. 더더욱 세게 던지면 한 바퀴를 돌아서 뒤통수를 때릴 수도 있다. “내가 던진 공이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것, 이게 바로 인공위성의 원리입니다. 공을 세게 던진다는 것은 속도가 빠르다는 것입니다. 초기에 던지는 공의 속도가 매우 빠르면 지구 표면으로 떨어지지 않고 뱅뱅 돌 수 있습니다.” ‘지구 표면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매우 빠르게 던지는 것.’ 이게 바로 인공위성 발사에 로켓이 쓰이는 이유다. 도시에서 자동차로 8분 동안 달려야 하는 거리를 로켓은 1초 만에 갈 수 있다. 그 속도는 총알보다 훨씬 빠르다. 총알 속도는 초속 900~1000m. 우주로켓의 속도는 초속 10㎞가 넘는다. 로켓은 어떻게 이런 속도를 낼 수 있는 걸까. 버리기 때문이다. 질량을 버리면서 속도를 얻는다. 원운동을 할 힘을 얻는다. 비행기와 비교해보자. 로켓은 처음엔 비행기와 비슷한 크기로 발사된다. 그러나 많은 연료와 산화제를 소모한 뒤 빈 탱크들을 하나둘 버리면서 로켓의 크기는 작아진다. 무게도 점점 가벼워진다. 가벼워지면 속도가 빨라진다. 왜 가벼워지면 빨라질까. 로켓이 내부에 가진 연료를 태워서 만든 기체를 뒤로 빠른 속도로 밀어내면, 즉 작용이 생기면 반작용이 일어난다. 로켓의 무게와 속도를 곱한 만큼의 운동량이 그 반대 방향으로 생긴다. 총알을 발사(작용)할 때 총포가 뒤로 밀리는(반작용) 원리와 같다. 로켓의 운동량은 총알에 비할 바 없이 크다. 연료를 대량으로 폭발시키면서 엄청난 속도로 땅을 밀어낸다. 이렇게 운동량이 생긴 상태에서 무게를 줄이면 그 운동량이 나머지로 옮겨간다. 속도가 빨라진다. 더 많이 버릴수록 더 많이 빨라진다.
국립과천과학관 전경.
국립과천과학관 중앙홀에 한국 독자 기술로 개발된 다목적실용위성7호(오른쪽)와 차세대중형위성 모형이 전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