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공유
‘평균연령 68.5살, 하루 평균 16.1시간 근무, 5명 중 4명은 용역업체 고용.’
지난달 28일 강서구가 아파트단지 경비원 175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노동실태 조사를 발표했다. 대표적인 취약계층 노동자인 경비원들이 얼마나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고 있는지 여실히 보여줬다. 이번 조사는 노동복지센터 개관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강서구가 지역 취약계층 노동자들의 노동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했다.
스스로 제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취약계층 노동자(비정규직, 영세사업장 노동자 등)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강서구를 비롯해 올해 관악, 광진, 성북, 양천 등 5개구에서 노동복지센터 개소를 준비하고 있다. 노동복지센터는 지역의 취약계층 노동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노동복지를 개선하기 위해 서울시가 자치구와 함께 만들어온 기관이다. 시가 요건(17평 규모의 공간과 시설)을 갖춘 자치구를 선정하고, 자치구는 지역 내 노동 관련 단체나 노동조합 등 유관 기관을 뽑아 운영하게 한다. 시는 센터의 상근 인력(4명) 인건비와 사무운영비로 최대 연간 3억원을 지원한다.
자치구 노동복지센터 개소가 관심을 끄는 것은 5년간 지지부진했던 사업이 다시 시작되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몇몇 자치구(성동·서대문·구로)에서 이미 운영하고 있던 노동복지센터를 전 자치구로 확대 설치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2012년 노원구에 노동복지센터(사진)를 추가로 열었다. 그런데 막상 시작해보니 자치구별로 상황이 만만치 않았다. 공간 확보, 민간 운영 위탁기관 선정 과정에서 예상하지 못했던 문제점들이 나타나면서, 모든 자치구에 센터를 설치하려던 계획은 제대로 추진되지 못했다.
2015년 서울시의 노동기본계획이 발표되면서, 노동복지센터를 확대 설치하려는 계획은 다시 진행됐다. 지난해 10월 서울시가 한국사회노동연구소에 의뢰해 노동복지센터의 실태를 평가한 결과에 따르면, 그간 노동복지센터 4곳의 운영 성과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노동자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노동인권 교육이나 임대주택에 사는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 등은 지역 특성을 잘 살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퇴근 시간 이후나 주말에 다수의 사업을 운영해 취약계층 노동자들이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점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안성식 노원노동복지센터장은 “취약계층 노동자들이 자신이 살거나 직장 가까운 곳에서 일터에서 생긴 문제를 쉽게 상담받을 수 있어 좋아한다”고 전했다. 박경환 서울시 노동정책담당관은 “기존 센터들의 운영 경험을 살려가며, 다른 자치구로의 확대를 순차적으로 진행해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현숙 기자 hslee@hani.co.kr
사진 노원 노동복지센터 제공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