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공유
50대 회사원 김아무개(52)씨. 요즘 김씨는 고민이 적지 않다. 25년이 넘은 직장생활에 스트레스가 쌓여 ‘60살 정년까지 버틸 수 있을까’라는 회의감에 종종 빠진다. 그렇다고 조기 퇴직을 할 엄두는 나지 않는다. 대학에 다니는 아들의 진로 고민도 여간 마음이 쓰이는 게 아니다.
생각 끝에 김씨는 이달 초 직장 근처에 있는 ㅁ정신건강의학과를 찾았다. 자신의 스트레스가 혹시 정신질환은 아닌지, 질환으로 발전할 가능성은 없는지 점검해보기 위해서다. ㅁ의원은 서울시가 50대 시민에게 무료 정신건강 검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협약을 맺은 정신의료기관 140여곳 가운데 하나다.
김씨는 1차로 자신의 병력과 심리 상태 등에 대한 문진표를 작성했다. 지난 1개월 동안 나타난 증상들을 묻는 항목에서 그는 ‘우울감’ ‘불행감’ ‘의욕상실 혹은 즐거움의 상실’ 등이 있다고 표시했다. 이 문진표를 토대로 김씨는 정신과 전문의와 상담을 했다.
담당 의사는 김씨의 성격과 습관, 직장생활, 음주와 흡연, 부부·자녀 관계 등을 물은 뒤 불안과 우울증의 정도를 세밀하게 판단할 수 있는 한 단계 높은 문진표 작성을 권했다. 김씨는 ‘지금 이 순간에 느끼는 자신의 상태’ ‘지난 2주간 자신의 기분을 잘 표현한 문장’ ‘일상적으로 흔히 느끼는 자신의 성격적인 성향’에 관한 61개 질문에 답을 했다.
최종적으로 의사가 판정한 김씨의 상태는 ‘가벼운 우울증’. 전문의는 “병원에 다시 올 필요는 없다”며, 대신 커피를 오전에 1잔만 마실 것 운동과 취미생활을 적극적으로 할 것 술을 줄일 것 등을 처방했다. 김씨는 “가벼운 우울증이라는 의사의 말에 조금 놀랐지만, 한편으론 정신건강에 좀 더 신경을 써야겠다는 다짐의 계기가 돼 만족스럽다”며 “진료비가 들지 않은 점도 좋다”고 말했다. 병원에 다녀온 뒤 김씨는 우선 의사의 권고대로 하루 3잔가량 마시던 커피를 1~2잔으로 줄였다. 휴대전화의 걷기 앱을 이용해 하루의 걸음 횟수를 확인하며 조금씩 늘리는 중이다.
김씨처럼 50대의 서울시민이라면 누구든 공짜로 정신건강 검진을 할 수 있다. 50대의 정신질환 예방을 위해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2015년부터 무료 검진 서비스를 하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지난달부터는 그 대상을 60살 이상~65살 미만 취약계층(서울시 주거위기가구 특별지원 대상자,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 발굴 자살 고위험 대상자) 등으로 넓혔다.
상담은 최대 3회까지 된다. 첫 방문에서는 우울증 등에 대한 선별검사와 평가, 상담을 받고 2~3회 차에선 약물치료 전 단계의 심층 정신과 상담을 받는다. 시는 상담 뒤 적절한 치료가 필요할 경우 각 자치구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연계해 사후관리도 지원하고 있다.
비용은 서울시가 자치구 보건소를 통해 의료기관에 전액 지급한다. 이 서비스를 하는 의료기관은 서울시(02-2133-7548), 보건소, 25개 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안내받을 수 있다. 블루터치 누리집(www.blutouch.net)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서비스를 실제로 이용하는 시민들은 많지 않다. 올 들어 지난 5월까지 이 서비스 이용자는 50명 정도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 정신과 병원을 직접 찾아가는 것에 대한 불편함, 정신과 상담이 진료기록으로 남아 불이익을 당할지 모른다는 불안감 등이 주저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꼽힌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정신건강 검진만으론 정신과 진료기록으로 남지 않으니 주저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정신의료기관을 방문해 약 처방을 받지 않고 상담, 설문지 작성 등 검진만 받을 경우 건강보험공단에 보건상담진료(Z코드)로 청구되기 때문에 정신과 진료기록으로 남지 않는다는 것이다. 오동열 정신과 전문의는 블로그에서 “삶을 중간 점검하는 차원에서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보고,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어서가 아니라 향후 관리를 위해 검진을 한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재권 선임기자 jjk@hani.co.kr 일러스트레이션 김대중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
그렇지만 이 서비스를 실제로 이용하는 시민들은 많지 않다. 올 들어 지난 5월까지 이 서비스 이용자는 50명 정도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 정신과 병원을 직접 찾아가는 것에 대한 불편함, 정신과 상담이 진료기록으로 남아 불이익을 당할지 모른다는 불안감 등이 주저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꼽힌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정신건강 검진만으론 정신과 진료기록으로 남지 않으니 주저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정신의료기관을 방문해 약 처방을 받지 않고 상담, 설문지 작성 등 검진만 받을 경우 건강보험공단에 보건상담진료(Z코드)로 청구되기 때문에 정신과 진료기록으로 남지 않는다는 것이다. 오동열 정신과 전문의는 블로그에서 “삶을 중간 점검하는 차원에서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보고,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어서가 아니라 향후 관리를 위해 검진을 한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재권 선임기자 jjk@hani.co.kr 일러스트레이션 김대중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