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공유
1960년 4월19일 화요일 낮 1시40분 경무대(지금의 청와대) 앞에서 갑자기 총성이 울렸다. 이승만 당시 대통령이 있는 경무대로 가려는 시민들을 향한 첫 발포였다. 3·15 부정선거에 항의하던 고려대생 피습 사건이 도화선이 되어 대학생과 중·고등학생 등이 경찰과 대치하는 과정에서 무차별 총격이 시작됐다. 이날 발포로 시민 21명이 죽고 172명이 다쳤다.
4·19 혁명 58주년을 맞아 시민을 향한 첫 발포가 있었던 청와대 앞에 이를 알리는 바닥 동판(사진)이 설치됐다. 서울시는 청와대 영빈관 맞은편 분수광장 보도에 국가폭력에 대한 저항을 상징하는 역삼각형(가로·세로 35㎝) 바닥 동판을 깔았다고 최근 밝혔다. 전효관 서울혁신기획관은 “그동안 설치가 어려웠던 4·19 최초 발포 현장인 청와대 영빈관 앞에 청와대의 협조로 국가폭력을 알리는 인권 표지석을 설치했다”며 “시민의 인권 감수성을 높이고 시민의 존엄을 보장하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근현대 역사의 흐름 속에서 자행된 인권 탄압 현장에 황동으로 만든 바닥 동판을 설치해 알리고 있다. 그동안 인권 현장 바닥 동판은 △4·19혁명의 도화선이 된 ‘4·18 선언’이 있었던 고려대 △6·10 민주항쟁의 기폭제가 된 박종철 열사 고문 사망 장소인 남영동 대공분실 터 △민주화운동 사상 최대 구속자(1288명)가 발생한 10·28 건대 항쟁 자리 △민주 인사 등을 고문 수사했던 국군 보안사 서빙고 분실 터 등 46곳에 설치됐다. 2015년에는 12월10일 ‘세계 인권 선언의 날’을 맞아 서울시청 앞 녹지대에 인권 조형물(1곳)과 남산 옛 안기부 자리에 인권 현장 안내 표지판(9곳)도 설치했다.
서울시는 인권 현장을 시민들이 쉽고 친근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이야기를 엮은 도보 탐방길을 개발하고 있다. 현재 4월길(민주화), 6월길(민주화), 여성길(사회연대), 자유길(남산) 등 4개 탐방길을 운영하고 있고, 올해 전태일길(노동), 시민길(사회연대) 등 탐방길 2곳을 추가로 운영할 계획이다.
원낙연 기자 yanni@hani.co.kr, 사진 서울시 제공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