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소식

서울시 공영주차장, 논스톱 자동결제 시대 진입

오는 9월 8곳 시범 운영, 내년까지 109곳 시행

등록 : 2019-06-13 15:50

크게 작게

미리 등록한 결제 정보 이용

현금 없는 주차 시대 실현

IoT 이용 주차장 공유 시스템 도입

2022년까지 주차장 6642면 조성

서울시는 2022년까지 서울에서 주차난 해소가 시급한 주택가에 총 6642면의 주차 공간을 만들 계획이다. 무엇보다 비강남권 주택가의 주차 여건 개선에 정책을 집중할 방침이다. 사진은 최근 빈집을 사들여 만든 강북 지역 한 동네의 소규모 주차장 모습. 서울시 주차 계획과 제공

서울시가 시민들의 주차 편의 향상과 비강남권 단독주택가 주차난 해소를 위해 발 벗고 나섰다. 오는 9월부터 시범 가동을 시작해 내년 6월까지 총 109곳 2040면의 공영주차장에 무정차 자동결제 시스템이 도입된다. 주택가에 개인 주차장을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유 시스템으로 전환할 경우 설치비가 전액 지원되며, 상대적으로 주차난이 심각한 비강남권 주택가의 주차장 설치 조건이 크게 완화된다. 서울시는 2022년까지 주차난이 심한 주택가 지역에 총 6642대의 주차 공간을 공급할 계획이다.

공영주차장 무정차 자동결제 도입


오는 9월 서울시가 운영하는 공영주차장 8곳(노외 5, 노상 2)에서 무정차 자동결제 시스템이 시범 가동된다. 차량이 주차장 출구를 나설 때 요금을 내기 위해 차를 세우고 신용카드나 현금을 꺼낼 필요 없이 미리 등록한 결제 정보로 주차요금이 자동결제된다. 관리인 없는 주차장에서 진일보해 자율주행 시대로 이행을 알리는 이른바 ‘지갑 없는 주차장’의 등장이다. 서울시는 내년 6월까지 무정차 자동 결제 공영주차장을 모두 109곳(노외 47곳, 노상 62곳 총 2040면)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결제 방식은 주차장이 건물 안에 있는 ‘노외 주차장’의 경우 차량번호를 인식해 자동으로 되며, 도로 위에 설치된 ‘노상 주차장’은 주차면에 설치된 차량인식센서가 작동해 출차 때 운전자가 스마트폰 앱으로 한다. 서울시는 자동결제에 사용할 결제 수단을 사전 등록하는 누리집과 앱을 제작하고, 교통카드와 신용카드 외에도 제로페이 등 다양한 결제 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결제 시스템을 마련해놓았다. 제로페이 이용자에겐 10% 요금 감면이 되도록 조례 개정도 추진한다.

자동결제 시스템으로 수집되는 정보는 ‘서울시 통합주차플랫폼’을 통해 주차장 관리 정보, 주차 예약 등 주차장 통합 관제와 주차 서비스 제공에 활용될 예정이다. 9월에 시범 가동하는 무정차 자동결제 공영주차장 8곳은 화랑대역, 신천유수지, 구로디지털단지역, 수서역, 마포유수지 주차장(이상 노외 주차장)과 해군본부 앞, 독립문 고가 밑, 문래1동 주차장(이상 노상 주차장)이다.

주택가 ‘사물인터넷 기반 공유 주차 서비스’ 도입

사물인터넷 기반 기술을 활용한 공유 주차 서비스가 주택가에 도입된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주차난 해소뿐 아니라, 주차장 유료 공유를 통해 부가 수입을 올리는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는 2004년부터 주택 담장을 허물어 주차장을 만드는 ‘그린 파킹’ 사업을 장려해왔는데, 사물인터넷 기술이 발전하면서 그린 파킹 사업에 공유 주차 시스템을 적용키로 한 것이다.

‘IoT 기반 실시간 공유주차 시스템’은 주차면 바닥에 IoT 센서를 붙여, 이 센서가 차량 유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시스템이다. 이용자는 앱을 이용해 자기와 가까운 그린 파킹 주차면을 확인하고 예약, 결제까지 한 번에 할 수 있다. 공유 가능한 시간은 주차면 소유주가 앱에 설정해놓을 수 있으며, 함께 설치된 폐회로텔레비전(CCTV) 화면은 언제든지 휴대폰으로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시는 올해 상반기 중으로 ‘서울주차정보’ 앱을 통해서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현재 각 자치구를 통해 이 같은 공유 주차 시스템에 참여를 원하는 시민을 모집한다. 선정된 집은 센서 설치비 전액을 지원받을 수 있다. 설치비 지원 대상은 단독주택과 야간에 인근 주민과 공유할 수 있는 근린생활시설뿐 아니라, 1996년 6월8일 이전 건립 허가 아파트도 주민이 원하면 용도변경해 그린파킹 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 단독주택과 근린생활시설은 주차면 1면 조성 시 900만원, 2면부터는 추가 1면당 150만원씩 최대 2800만원까지 지원한다. 아파트는 주차장 조성 공사비의 50% 이내, 1면당 최대 70만원을 아파트당 최대 5천만원 한도로 지원한다. 현재 그린 파킹 사업으로 조성된 주차면은 지난해까지 총 5만5381면에 이른다.

비강남권 주차장 공급 확대

서울시는 주택가 주차난 해소를 위해 올해 총 62개소 2922개 주차면 건설에 시비를 지원하는 등 2022년까지 모두 6642면의 주차면을 주택가에 증설할 계획이다. 주차 문제가 상대적으로 심한 비강남권역의 주택가 주차 개선에 집중할 방침이다. 목표한 주차면의 63%에 이르는 4200면을 비강남권에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비강남 지역의 소규모 주차장도 시비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시비 보조 심사 대상을 사업비 60억원 이상 주차장에서 20억원 이상 사업으로 확대했다. 또한 입체식 주차장뿐 아니라 평면식 주차장도 지원 대상에 추가하고 소규모 주차장(10면 내외)은 투자 심사를 제외토록 했다.

주차장 건설을 위한 지원금 비율도 기존의 최대 70%에서 최고 100%까지 대폭 늘린다. 최초 지원은 기존과 같게 30~70% 범위에서 하되, 추가로 10~30%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이 밖에 소방차 진입 곤란 등 화재취약지구(최대 100%) 지원을 확대하고 전통시장 주변도(경계 100m 이내) 최초 보조율에 추가 20%를 지원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지속적인 주차 환경 개선 사업을 통해 주택가 주차장 확보율이 평균 101.9%까지 개선됐으나, 다세대·다가구 주택 과밀 지역 확보율은 70%를 밑도는 등 일부 지역의 주차난은 여전히 시급히 해소해야 할 과제로 판단하고 있다.

이인우 선임기자 iwlee21@hani.co.kr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