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in 예술

인생은 달랑 캐리어 하나

퍼포먼스 <캐리어> 여는 배유리

등록 : 2019-07-18 15:03

크게 작게

“내게 익숙하고 편안하고 안전한 것으로부터 멀어지려고 노력해요.”

안무가이자 연출가인 배유리(37)씨는 오는 19~21일까지 삼일로창고극장에서 하는 전시 퍼포먼스 <캐리어>(carrier, 사진)를 앞두고 이렇게 다짐했다. 10여 년간 무대 공연의 주역으로 활동해왔지만 이제는 공연을 만드는 제작자로서 고민이 더 많아 보인다. 부모님과 함께 살다 서른 중반에 쫓겨나다시피 자의 반 타의 반으로 독립하게 됐는데, 이때부터 ‘이상적인 주거’를 꿈꾸게 됐단다. “오랫동안 몸담았던 무용단에서 나와 홀로서기 할 때의 혼란스러움과 비슷해요.”

엔(N)포 세대 청년들도 이상을 꿈꾸지만 그들에게 놓인 현실은, 전작 <33㎡>가 표현한 ‘10평 이내의 원룸’에 불과했다. 하지만 작품에 대한 고민을 거듭하면서 이제는 청년에서 더 나아가 일반 사람의 생활 패턴으로 고민을 확장했다. “결국 저 같은 1인 가구가 많아지면 원룸은 보편화될 거예요. 언젠가는 개인의 소장품들도 캐리어 안에 다 들어갈 정도로 단순해지지 않을까요?” 현대인의 ‘미니멀리즘’을 말하는 공연 <캐리어>가 이렇게 완성된 것이다.

그렇다면 ‘이상적인 주거’와 오브제로 사용된 ‘캐리어’엔 어떤 연관이 있을까. 공연은 원룸으로 꾸민 무대에 다양한 연령대로 구성된 네 명의 남녀들이 자신만의 삶을 동작으로 표현한다. 캐리어를 끌기도 하며, 때로는 그곳에 몸을 구겨넣기도 한다. 전시장 곳곳엔 안무가가 살아왔던 원룸의 흔적이 담긴 사진과 영상이 깔려 있다.

“언젠가 나이가 들어 죽을 때를 생각했어요. 화장터 앞에 다다르면 저의 모든 것은 버려지고 캐리어 하나만 남지 않을까요?” 어쩌면 극단적일지도 모르지만 이런 상상이 곧 다가올 것이라 믿고 있었다. 이렇게 인생의 끝에 있는 죽음의 메시지까지 관객에게 전하는 것이 불편하지 않겠냐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다. “거칠고, 불편한 작품을 보여주는 새로운 시도를 감출 필요는 없어요. 정해지지 않고 예측할 수 없는 상상이야말로 또 다른 생각할 거리를 만들어주거든요.”

■ 배유리는 국민대학교 무용과를, 종합예술대학원에서 댄스시어터를 전공했다. 2015년부터 ‘베타 프로젝트’ 팀에서 연출가와 안무가로 활동해왔다. 주요 작품으로는 <청춘 엘레지>(2011), < am 4:13 >(2009~2014), <불현듯, 부아가 치밀 때가 있다>(2015~2017), <페스트 만신창의>(2017~), <33㎡>(2018)이 있다.


이규승 서울문화재단 홍보팀장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