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공유
서울 강남구(구청장 조성명)가 2월3일 전면 개편된 ‘자원순환 종합포털’(https://clean.gangnam.go.kr)을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편은 구민들이 자원순환 정보에 쉽게 접근하고, 생활 속에서 쓰레기 감축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기능을 대폭 개선한 것이 특징이다.
강남구 자원순환 종합포털 대표페이지. 강남구 제공
지난해 4월 처음 선보인 기존 ‘청소 종합포털’은 행정 관리자 중심의 청소 관리 시스템을 통합하고 구민들에게 청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번 개편에서는 기존 시스템의 불편 사항을 보완하고 자원순환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 환경 보호 실천을 유도하는 데 중점을 뒀다. 이에 따라 명칭도 ‘자원순환 종합포털’로 변경됐다.
개편된 포털의 가장 큰 변화는 위치 정보 서비스다. 기존 시스템의 오류를 수정하고, 다음 카카오맵을 활용해 △개방화장실 △가로휴지통 △의류수거함 △폐형광등·폐건전지 수거함 등 7가지 자원순환 시설물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했다. 또한, 도로청소 차량의 실시간 위치를 시간대별로 확인할 수 있어 구민들이 청소 과정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자치구 최초로 생활폐기물 배출량 데이터를 공개한다. 생활쓰레기, 재활용품, 음식물쓰레기의 배출량을 주간 단위로 통계화해 제공하며, 구민들이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배출량 감축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와 함께 재활용품 분리배출 요령, 생활쓰레기 처리 절차, 환경시설 소개 등 자원순환 관련 정보를 통합해 제공한다.
대형 폐기물 신고 시 기존의 SNS 인증 방식을 휴대폰 간편 문자 인증 방식으로 개선해 사용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모바일과 PC 등 다양한 기기에서 원활히 작동하도록 호환성을 확대했으며,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간결한 대시보드 화면을 적용해 가독성을 높였다. 조성명 구청장은 “이번 자원순환 종합포털 개편은 단순한 시스템 개선을 넘어, 미래를 준비하는 강남구의 비전을 담았다”며 “구민들과 함께 기후위기 시대에 대응하며 지속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가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서울앤 취재팀 편집
대형 폐기물 신고 시 기존의 SNS 인증 방식을 휴대폰 간편 문자 인증 방식으로 개선해 사용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모바일과 PC 등 다양한 기기에서 원활히 작동하도록 호환성을 확대했으며,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간결한 대시보드 화면을 적용해 가독성을 높였다. 조성명 구청장은 “이번 자원순환 종합포털 개편은 단순한 시스템 개선을 넘어, 미래를 준비하는 강남구의 비전을 담았다”며 “구민들과 함께 기후위기 시대에 대응하며 지속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가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서울앤 취재팀 편집
서울& 인기기사
-
1.
-
2.
-
3.
-
4.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