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태동의 서울의 숲과 나무

단풍은 스스로 맑고 곱게 변해, 사람들 마음 씻어준다

㊲ 중랑구2 : 망우산과 용마산의 가을 단풍

등록 : 2021-11-11 15:33

크게 작게

용마폭포공원. 단풍이 맑고 곱게 들었다.

붉은 잎새 주워든 ‘단풍놀이 아이들’은

단풍에 전염된 듯 마음까지 붉어진다

그 아이들의 모습, 단풍보다도 더 곱다

나 역시 그 앞에서 까닭 없이 뉘우친다

단풍 빛이 맑다. 맑아서 곱다. 맑고 고와서 순수하다. 그 앞에서 까닭 없이 뉘우치고, 밑도 끝도 없는 그리움이 일었다. 마을 골목길 200년 넘은 느티나무 고목에는 어김없이 올해도 단풍이 들었다. 노년의 부부가 그 아래 앉아 점심거리를 이야기하고 어린아이는 단풍 낙엽을 손에 가득 들고 웃는다. 세상이 온통 단풍인데, 어른들은 고개 숙이고 아이들은 단풍보다 곱다.

망우산 자락 13도 창의군탑과 200년 넘은 느티나무


면목동 양지마을마당의 200년 넘은 느티나무에 단풍이 물들었다.

북쪽으로 뻗은 망우산 줄기가 잠시 숨을 고르는 곳에 망우리 고개가 있다. 망우리 고개 서쪽 망우저류조공원에 13도 창의군탑이 우뚝 솟았다.

1907년 11월 1만여 명의 의병이 경기도 양주에 모여 기울어가는 국운을 바로 세우기로 했다. 그중 일부가 서울로 진격했고, 망우리 고개에서 일본군과 싸웠다고 한다. 의병은 전투에서 패하면서 퇴각했다. 항일 의병의 뜻을 기리기 위해 13도 창의군탑을 세웠다. 울긋불긋한 단풍이 탑을 에워쌌다. 그 뒤로 망우산이 보인다. 산의 품에 들어선 체육시설에서 아이들이 야구 연습을 한다. 운동복을 맞춰 입고 힘을 다해 던지고 치고 달리는 아이들이 생기 넘친다.

목청껏 외치는 아이들 소리를 들으며 망우리 고개로 돌아갔다. 차들이 질주하는 넓은 도로, 그 고개를 넘어 서울로 진군하던 항일 의병들의 함성을 떠올려본다. 길가에 줄지어선 은행나무, 노랗게 물든 잎들이 함성처럼 공중에 나부낀다.

망우리 고개를 넘어오는 시내버스를 타고 상봉역 정류장에서 내렸다. 넓은 도로에서 이면도로로 걸었고, 이면도로에서 골목길로 접어들었다. 걸었던 모든 길에 단풍 없는 곳이 없었다. 회귀하는 연어처럼 가을이 깊은 골목에 다다랐다.

면목동 213-3, 손바닥만한 터에 붙은 이름은 양지마을마당이다. 어른들은 쉬고 아이들은 논다. 초등학교 고학년으로 보이는 아이들이 풍선 놀이를 한다. 하늘로 올라간 풍선이 천천히 내려앉는다. 아이들은 고개를 젖혀 하늘을 보고 풍선을 잡으려 뛰어다닌다. 어린아이가 단풍 물든 낙엽을 줍는다. 한 손에는 이미 단풍잎이 가득하다. 아이는 의자에 앉은 엄마에게 방금 주운 단풍잎을 보이며 웃는다. 마을마당 한쪽에 서 있는, 200년을 훌쩍 넘긴 커다란 느티나무가 아이들을 다 지켜보고 있다. 200년 넘게 단풍을 맞이하고 보낸 느티나무 고목은 올해도 어김없이 단풍을 맞이했다. 단풍 그늘 아래 앉은 노년의 부부는 점심거리를 이야기하고 있었다.

서거정의 시를 읽으며 사가정공원 숲길을 거닐다

사가정공원 단풍숲.

골목길 느티나무 고목에서 남쪽으로 1.6㎞ 정도 되는 곳에 사가정공원이 있다. 용마산과 망우산이 만나는 깔딱고개 서쪽 산기슭에 자리 잡은 사가정공원도 온통 단풍이다.

공원 입구 시계탑 뒤 푸른 소나무와 울긋불긋 물든 단풍이 어울린 작은 숲은 공원으로 들어가는 관문 같았다. 가을이 가득한 공원으로 들어섰다.

유아 놀이터를 지나는 길부터 길에 낙엽이 가득하다. 길에서 만난 안내판에 조선시대 사람 서거정의 이야기가 적혔다. 6살에 시를 짓기 시작했으며, 25살에 집현전 박사가 됐고, 한성부 판윤, 대사헌, 대제학 등을 역임했다는 내용과 함께, 당대 최고의 문인이라는 내용까지 담고 있었다. 그런 서거정이 용마산 부근에서 살았다고 해서 공원에 서거정의 시비 네 개를 세웠다.

사가정공원에 있는 서거정의 시비 ‘한중’.

한가로이 거닐고 산을 사랑한다는 내용의 ‘한중’, 낮잠 꿈에서 깨어 오동잎에 내리는 빗소리를 맞이하는 ‘수기’, 홀로 연못과 나무가 있는 마당의 운치를 즐기는 ‘독좌’, 이른 봄 마당 연못에 새 물을 받고 제비와 꽃을 기다리는 마음을 읊은 ‘춘일’ 등이다.

‘한중’이 새겨진 시비를 먼저 만났다. 시처럼 숲을 걸어서 정자가 있는 마당을 지나 배드민턴장이 있는 곳에 도착했다. 깎아지른 바위 절벽의 형국이 평범치 않아 물어보니 예전에 채석장이었다고 한다. 우묵하게 산을 파고 들어간 옛 채석장 절벽을 뒤로하고 내려오다 또 다른 숲길로 들어갔다.

크고 작은 돌탑이 모여 있는 곳을 지나 소나무가 있는 약수터에서 발길을 돌려 정자가 있는 마당으로 돌아왔다. 그 마당 한쪽에서 서거정의 시비 ‘수기’를 보았다. 서거정이 낮잠을 자다 꿈을 꾼 것처럼, 꿈같은 단풍 숲길을 거닐었다. 세 번째 시비 ‘독좌’의 내용처럼 즐거움을 드러내지 않고 삼가는 마음으로 그 풍경을 즐긴다. 마지막 시비에 새겨진 제비와 꽃을 기다리는 마음 대신 깊어가는 가을을 보내는 마음으로 단풍 숲으로 들어갔다.

데크로 만든 길을 걸었다. 단풍 물든 잎을 통과한 햇볕에 숲 안이 환하고 아늑했다. 단풍 낙엽은 바닥에서도 빛났다.

용마폭포공원에서 맑고 고운 단풍을 보다

용마폭포공원 인공폭포. 폭포 가동 계절이 아니지만 바위 절벽과 단풍이 어울린 풍경도 보기 좋다.

사가정공원에서 다시 남쪽으로 900m 정도 되는 곳에 용마폭포공원이 있다. 채석장이 있던 자리에 인공폭포를 만들고 공원을 꾸몄다.

산의 한쪽 사면이 깎여 이루어진 수직 절벽이 병풍처럼 공원을 둘러쌌다. 50m 넘는 인공폭포는 그 절벽의 한쪽 풍경일 뿐이다. 지금은 폭포가 가동되는 계절이 아니지만 그 모든 풍경이 마음을 끌었다. 절벽 중간에서 자라는 푸른 생명과 절벽 아래 나무와 숲을 물들인 단풍이 어울린 풍경이 낯설다.

절벽과 단풍이 어울려 만든 풍경 아래 공원 축구장에서 중년의 남자들이 꽤 진지하게 축구를 한다. 인공폭포 앞은 주변 마을 사람들의 쉼터다. 단풍 물든 인공폭포 절벽 앞은 촬영 명소다. 나이를 가리지 않고 그 앞에서 휴대전화를 꺼내 사진을 찍는다. 외국인도 드물게 보인다. 돗자리를 깔고 준비해온 먹을 것을 나눠 먹는 가족도 많다. 젊은 부부는 머리카락이 젖을 정도로 배드민턴을 치고 있다. 아이들은 넓은 마당을 이리저리 뛰어다니며 논다. 어린아이들은 곱게 물든 단풍잎을 모은다. 단풍 유명한 곳을 찾아 멀리 떠나지 않아도 이런 풍경이라면 단풍놀이를 즐기기에 딱 좋겠다.

인공폭포를 뒤로하고 단풍 물든 나무들이 줄지어선 길로 걸었다. 높게 자란 나무들은 우듬지부터 가장 낮은 가지까지 단풍이 물들었다. 단풍숲 뒤로 옛 채석장 바위 절벽이 보인다. 오르막길을 따라 걷는다. 철조망으로 만든 문이 걸음을 막는 곳에서 맑고 고운 단풍을 보았다.

새빨갛게 물든 단풍, 샛노란 단풍, 초록빛 나무가 한곳에 모였다. 각각의 그 빛들이 맑다. 마음도 맑아진다. 그 빛들이 곱다. 고와서 마음이 순해진다. 맑고 고운 그 빛들이 순수하다. 까닭 모를 회한이 일었다. 밑도 끝도 없는 그리움이 일다가 아득해졌다. 맑고 고운 단풍이 그렇게 마음을 씻어주었다.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