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보다 뜨거운 현실, 남영동 대공분실·이한열기념관

전현주 기자의 ‘1987년 열사의 흔적’ 따라가기

등록 : 2018-01-25 14:05

크게 작게

영화 개봉 이후 옛 남영동 대공분실

하루 100여 명씩 사람들 몰려

마포구 이한열기념관도 방문객 몰려

2월9일까지 토요일 연장 개관

옛 남영동 대공분실(현 경찰청 인권센터) 509호실. 1987년 1월14일 사망한 고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현장이다. 영화 개봉 후 하루 100여 명 넘는 방문객이 찾아오고 있다.

영화 <1987> 개봉으로 6월 항쟁과 ‘그 시대 그 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일상을 살다가 시간에 묻어버린 기억도 하나둘 세상 밖으로 튀어나온다. 짧은 젊음을 시대에 쏟았던 박종철과 이한열 그리고 시대의 당위를 좇아간 무명씨들의 흔적을 따라 ‘1987년 서울’을 걸어본다.

“남영동 무서운 줄 몰라?”


옛 남영동 대공분실 전경

지난 수요일 오전 방문한 옛 남영동 대공분실 박종철 기념전시실에는 스무 명 남짓의 남녀노소 시민들이 이른 아침부터 찾아와 관람하고 있었다. “많이들 오시죠. 영화 개봉하고선 하루 100명은 넘게 와요.” 방문객 접수를 하던 관계자가 활짝 웃으며 말했다.

옛 남영동 대공분실의 1층과 5층을 한 번에 잇는 나선형 계단을 오르다보면 내가 어디쯤 왔는지 위치 감각을 잃어버린다. 앞뒤로 함께 걸은 대여섯 명의 중·고등학생들이 “완전 어지러워!” 외치며 “이걸 의도적으로 만들었다고?” 의문을 뱉었다. 이해할 수 없다는 표정이다.

1976년 당대의 건축가 김수근의 설계로 완공한 검은 벽돌의 남영동 대공분실은 ‘해양연구소’라는 위장 간판을 달고 은밀히 운영됐다. “남영동 무서운 줄 몰라?” 하는 영화 속 대사처럼, ‘남산'으로 상징된 옛 국가안전기획부와 ‘서빙고호텔'로 일컬어지던 국군보안사령부 대공분실과 더불어 고문수사기관으로 악명이 높았다.

옛 남영동 대공분실 내부

남영동 대공분실은 1976년 경찰청 산하 대공수사기관으로 지었다. 2005년 경찰청 인권보호센터와 과거사위원회가 입주한 뒤, 2007년 박종철 기념전시실과 인권교육 자료실을 열어 과거사를 돌아보는 자성의 공간으로 바뀌었다. 계단으로 5층까지 오른 뒤 내려오면서 보면 보기 수월한 동선이다.

5층 15개 조사실 중 14개실을 돌아볼 수 있다. 509호실은 1987년 1월14일 사망한 고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현장이다. 서울대 언어학과 2학년 박종철은 시국 사건으로 수배 중이던 선배 박종운의 소재를 추궁받으며 물고문당하던 끝에 숨졌다. 4.09평 비좁은 공간에 책상과 의자, 침대, 욕조, 변기가 붙박이로 보존됐다. 복도 왼쪽 끝 515호실은 1985년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 김근태 의장이 서울대 민주화추진위 배후조종 혐의로 고문을 받았던 조사실이다.

4층 박종철 기념전시실에서는 책과 옷가지 등 소박한 유품을 두었다. 관람객들 발이 가장 오래 머무는 곳은 고인의 친필 편지 앞이다.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경찰의 고문 은폐 시도, 6월항쟁, 대통령 직선제로의 개헌 등 역사 맥락을 알리는 신문 기사들이 연대별로 정리됐다.

1층 정문은 30여 년 전과 달리 활짝 열렸다. 누구든 이름과 연락처 등 간단한 인적사항을 적은 뒤 방문증을 목에 걸면 들어올 수 있지만, 중장년층 중에는 쭈뼛거리는 이들이 더러 있다. 담배를 입에 물고 쉽게 떠나지 못하는 사람도 눈에 띈다. (주소: 용산구 한강대로71길 37 | 운영: 월~금 9:00~18:00 | 문의: 02-3150-1950, 1951)

박종철 거리와 이한열기념관

신림동 박종철 거리

지난 13일 서울 관악구에서는 ‘박종철 거리’ 선포식이 있었다. 관악구는 박종철 열사가 살았던 관악구 하숙집 일대를 ‘박종철 거리’로 지정해 기념동판과 벽화를 설치했다. 또 근처 도덕 소공원을 ‘박종철 공원’으로 만들고, 내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의 ‘박종철 기념관’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주소: 관악구 신림동 대학5길 9 | 문의: 02-879-5000)

이한열기념관 상설전시실

마포구 이한열기념관은 방문객 증가를 고려해 2월9일까지 토요일 연장 개방을 시작했다. 상설전시실에서는 1987년 6월9일 연세대 정문 앞에서 경찰이 쏜 최루탄에 쓰러진 이한열 열사의 유품과 영화 <1987>에서 쓴 수류탄, 의복 등을 함께 전시한다. 기획전시실에서는 ‘보고 싶은 얼굴’을 주제로 1987년 이후 ‘자연스럽지 못한 죽음의 사연’을 돌아보는 전시도 열리고 있다. (주소: 마포구 신촌로 12 나길 26 | 운영: 평일 10:00~17:00, 주말과 저녁은 예약 후 방문 | 문의: 02-325-7215)

무명의 시민들을 기억하는 ‘민주올레길’

한편 기록 없이 사그라진 무명의 청춘들과 시민들을 추모하는 길도 있다. 2010년 구성된 민주올레운영위원회는 해마다 ‘함께 걷는 운동’을 주제로, 시대의 분기점이 된 사건 지역을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걷는 행사를 마련해왔다. 그중 ‘6·10민주유적 현장 탐방’ 코스는 6월항쟁과 기억의 공간을 돌며 이전 세대의 자취를 돌아볼 수 있게 했다.

코스는 옛 남영동 대공분실(현 경찰인권센터/ 박종철 열사 고문치사 장소), 서울역 광장(6·26 국민평화대행진 장소), 한국은행 앞 분수대(6월 항쟁 때 격전지), 명동성당(6월 항쟁 농성·조성만 열사 투신 장소), 옛 성모병원(전태일 열사 임종 장소, 1987년 당시 정의구현사제단 입주), YWCA(YWCA 위장 결혼 장소,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결성 장소), 백병원(김귀정 열사·조성만 열사 임종 장소), 남산 옛 국가안전기획부 건물(최종길 교수 의문사 장소, 민주인사 고문 장소)을 잇는다. 약 5㎞ 길이로 천천히 걸으면 두 시간 반에서 세 시간 남짓 걸린다.

글·사진 전현주 객원기자 fingerwhale@gmail.com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