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토, 걸으며 생각하며

교토 절의 ‘신라대명신’에서 장보고의 그림자를 보다

⑩ 교토 히에이잔 산기슭의 세키잔선원과 곤신사의 ‘신라대명신’

등록 : 2023-03-02 17:08

크게 작게

세키잔선원으로 들어서는 진입로의 석조 도리이. ‘세키잔다이묘진’(赤山大明神)이라고 쓴 편액을 걸고 참배객을 맞고 있다.

신라명신 모신 천년고찰 세키잔선원

당나라 신라방 ‘적산법화원’ 따라 지어

‘해상왕 장보고가 신라명신 원조’ 설도

무사항해 빌던 전통은 현대에도 ‘여전’


절에 딸린 신사도 주신은 신라대명신

7위의 명신 대부분 신라·백제 ‘도래계’


항해 안전에서 재물의 신으로 ‘변신’

안내문이나 표지가 없는 점은 아쉬워

10년 전 작고한 소설가 최인호(1945~2013)가 2003년 발표한 <해신>은 통일신라 시대 때 국제무역으로 이름을 떨친 ‘해상왕’ 장보고(?~846)를 모델로 한 역사소설이다. 이 소설은 나중에 드라마, 다큐멘터리 등으로도 만들어지며 큰 인기를 누렸는데, 한·중·일을 넘나드는 장보고의 활약상이 당시 세계화라는 흐름과 맞아떨어졌다.

그런데 소설가는 역사서에 단편적인 기록으로 존재한 장보고를 ‘해상왕’으로 연결짓는 영감을 뜻밖에도 일본의 ‘신라명신’에서 얻고 있다. 일본말로 ‘묘진’인 명신(明神)은 일본 불교에서 부처가 세속에 환생한 신을 가리킨다. 이른바 ‘신불습합’(일본의 토착신앙인 신토와 외래신앙인 불교의 융합)의 결과인데, 일본에서는 9세기 무렵 신라명신이란 이름의 ‘묘진’이 절이나 신사에 모셔지기 시작한다. 소설대로라면 장보고가 이 ‘신라묘진’의 원조 격이 되는 것이다.

최인호의 상상대로 장보고가 신라묘진의 원조라고 단언할 증거는 없지만, 신라의 신을 ‘다이묘진’(대명신)으로 삼아 창건된 절이 교토에 실재하는 것만큼은 사실이다. 교토시 동북쪽 히에이잔 산기슭에 있는 ‘세키잔선원’(赤山禪院)이 그곳이다. 세키잔은 오늘날의 중국 산둥성 문등현 적산촌으로, 장보고 해상무역단을 비롯한 신라인 거주지 ‘신라방’이 있던 곳이다. 신라인들은 이 신라방에 ‘적산법화원’이란 절을 짓고 안전한 무역 항해를 기원하고 있었다. 이 적산법화원을 모델로 삼아 지은 절이 세키잔선원이다.

세키잔선원 본전 앞. 본전에는 신라대명신을 그린 그림이 있다고 하는데 일반에게는 비공개이다.

교토의 겨울 날씨는 영하로 내려가는 날이 드물지만, 은근히 오슬오슬하게 추운 ‘소코비에’(몸속으로 파고드는 추위) 속에 찾아간 세키잔선원은 진입로부터 ‘세키잔다이묘진’(赤山大明神)이라고 쓴 석조 도리이가 손님을 맞이한다.

산문 안쪽의 초대형 석등은 보는 이가 한국인이라서 그럴까 싶을 정도로 ‘한국적’이다. 넓지 않은 경내에 불전과 신사를 사이좋게 배치해놓고 있다.

세키잔선원은 일본 천태종의 중흥조인 자각대사 엔닌(圓仁, 794~864)의 유언에 따라 서기 888년 현재 위치(교토시 사쿄구)에 세워졌다. 이 자리는 옛 왕궁에서 보면 동북방 귀문(사악한 기운이 드나드는 곳)이고, 천태종 총본산인 히에이잔 엔랴쿠지(比叡山 延曆寺)에서 보면 남서쪽 귀문에 해당한다고 한다. 즉 왕실과 엔랴쿠지로 향하는 나쁜 기운을 막는 수호사찰로서 절을 세웠음을 알 수 있다.

세키잔선원의 칠복신. 지금의 절은 부귀, 장수 등 인생의 7가지 복을 가져다 준다는 기복신으로 더 인기가 있다.

엔닌은 당나라 유학 시절 장보고 해상무역단을 비롯한 신라인에게 많은 신세를 졌다. 적산법화원에서 신라 불교를 배웠고, 불경을 갖고 귀국할 때도 신라 배를 타고 돌아왔다. 그가 귀국한 뒤 장보고에게 보낸 편지에는 은혜에 감사하는 마음이 절절하게 표현돼 있다고 한다(<교토에서 본 한일통사>, 정재정 지음, 효형출판 펴냄).

엔닌이 죽으면서까지 수호사찰을 짓고 거기에 신라묘진을 모시려 한 것은 개인적인 보은도 있겠지만, 당시 신라 해상무역 세력이 천태종 교세 확장에 큰 도움이 됐기 때문일 수 있다(장보고가 암살되면서 그의 ‘해상왕국’은 와해했지만 주축 세력은 일본으로 망명해 규슈 일대에서 ‘일본무역상’으로 새롭게 거듭나고 있었다).

절 안내문에는 세키잔다이묘진이 중국 도교의 신인 ‘태산부군’이라 하지만, 이런 유래를 알면 세키잔다이묘진이 중국 신이 아니라 신라 신임을 금세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왜 신라 신을 수호신으로 삼았는지도 알 수 있다. 오늘날에도 일본의 절과 신사에 가보면, ‘기도 영험’ 리스트에 ‘교통안전’이 빠지지 않는다. 오래전 난파의 두려움 속에서 바다를 건너온 일본의 고대 관념이 일본이 세계 최고의 교통안전 선진국이 된 오늘날까지도 무의식 속에 전승되고 있는 생생한 증거가 아닐까 한다.

세키잔선원의 섭사인곤(金)신사. 신사의 이름이 왜 ‘곤(金)’인지 정확한 유래를 알 수 없었다. 돈일까, 신라 김씨일까.

절의 본전에는 세키잔다이묘진의 화상이 안치돼 있다고 한다. 불교 사천왕의 하나인 비사문천을 닮은 무장의 형상을 하고 있다는데, 고대 일본인들이 상상한 신라명신의 모습을 볼 기회였는데 비공개라고 해서 무척 아쉬웠다. 세키잔다이묘진은 오늘날에는 불법과 왕실 수호신이 아니라 부귀와 장수 등 칠복을 내려주는 신으로 받들어지고 있다.

한편, 세키잔선원에는 ‘곤’(金)이라는 좀 특이한 이름의 신사가 딸려 있다. 절 창건 36년 뒤인 924년에 세워진 이 신사에는 신라다이묘진을 비롯한 7위의 ‘도래계’ 명신이 모셔져 있는데, 세키잔선원에 두 번씩 갔는데도 안내문이나 표지가 없어 찾아볼 수 없었다. 그런데 이번에 세키잔선원 근처의 왕실정원(슈가쿠인리큐 별장) 구경을 갔다가 관람대기 시간을 보내려고 다시 들렀을 때 볏짚 가자리(신사 장식물)에 가려져 있는 신라명신의 편액을 발견하고는 되레 내가 깜짝 놀라고 말았다. 사실 손을 대서는 안 되는 신사에 그날 따라 나도 모르게 손이 갔다가 알게 된 것이다.

곤신사에 안치돼 있는 신라대명신의 위패. 세키잔선원이 장보고를 비롯한 신라인들과 깊은 유대가 있었음을 말해준다.

가자리 안쪽에 7신위가 걸려 있는데, 가운데 신라대명신을 중심으로 마쓰오대명신, 가모대명신, 히라노대명신 등 신라계와 백제계 명신이 나란히 있고, 나머지 3위도 도래인의 항해 안전을 비는 신과 불교 지장보살의 현신이었다. 결국 곤신사 역시 교토 주변에 흩어져 살던 도래계 씨족집단이 안전 항해를 빌기 위해 세키잔선원에 안치한 신이었다.

그런데 이런 내력의 신사 이름이 어째서 돈(金)을 뜻하게 됐을까? 신사 정면에 걸어놓은 금신당(金神堂)이라고 쓴 등은 차라리 “다른 이름은 묻지 마세요”라고 말하는 듯했다. 신사의 유래를 모르고 온 사람들은 이 신사가 본래 신라명신을 모신 신사임을 알기란 불가능할 것이다. 절 안내도에는 아예 곤신사 표시가 없고 칠복신을 모신 신당 옆에 이정표만 있을 뿐이었다. 오랜 세월에 따른 변화일까? 아니면 ‘도래인 이야기는 이제 그만’이라는 뜻일까?

곤신사에는 신라대명신을 비롯한 7위의 명신이 모셔져 있는데, 지장보살을 뺀 나머지는 신라와 백제계 도래인의 신이다.

1100여년 전 수호사찰로 세워진 세키잔선원은 오늘날에는 재액을 막고 복을 비는 ‘방제기복처’가 되어 있다. 특히 상인에게 영험하여, 세키잔다이묘진 젯날인 5일 절에 참배하고 수금에 나서면 돈이 잘 걷혀 ‘5일 지불’이라는 관습까지 생겨났다고 한다. 곤신사도 돈이 새나가는 것을 막는 데 효험이 있다니, 신라 신의 영험함이 바다 건너에 넓게도 퍼졌구나 싶다.

무사 항해를 비는 신라 신이 일본으로 건너와 불법과 왕실 수호신이 됐다가 점차 민중 속으로 들어가서는 “돈을 지키는” 신이 되어 있다. 한국이나 중국의 종교도 별반 다르지 않다. 돈과 권력의 박해를 받고 고난을 당한 성인의 사원에 사람들은 ‘부자 되게 해달라’고 빌러 온다.

세키잔선원은 가을 단풍으로 유명한데, 산문을 들어서면 왼쪽에 대형 석등이 하나 서 있다. 첫눈에 봐도 한국적인 느낌이 물씬난다.

일본에 와서 세키잔의 신라대명신에게 ‘교토 무사안착’을 신고하려던 봄의 계획은 겨울이 돼서야 이뤄졌다. 우연히 세 번이나 찾아가게 된 필자의 ‘정성’이 적산촌 신라방의 신라대명신 아니, 장보고의 혼에도 닿은 것일까.

글·사진 이인우 리쓰메이칸대학 ‘시라카와 시즈카 기념 동양문자문화연구소’ 객원연구원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