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태동의 서울의 숲과 나무

추억 길어올리는 고목 밑, 아이들은 새봄같이 웃는다

장태동의 서울의 숲과 나무 ㉑ 서울 마포구 두 번째 이야기

등록 : 2021-03-25 15:49 수정 : 2021-04-15 17:18

크게 작게

한강 둔치 연둣빛 신록 속 걸어가면

마음은 어느새 고향 신작로를 거닌다

메타세쿼이아 길옆 예스러운 흙길에선

밭일 끝낸 시골 아저씨 만날 것 같다

평화의 공원에 있는 시비와 연둣빛 물오른 수양버들.

수양버들 신록 가득한 한강 백사장이 낯설다. 3월 강기슭에 새겨진 물결의 나이테가 살갑다. ‘화르락’ 타오르는 꽃 같은 봄도 있지만, 온통 푸른 연둣빛 봄이 새롭다. 백 번도 훨씬 넘는 봄을 길어 올린 고목 아래 모인 새잎 같은 아이들, 이런 날이 있어 봄이 봄 같다.

한강 백사장과 연둣빛 숲.

한강의 백사장 앞에서 푸르게 빛나는 봄 숲


양화대교를 건너는 버스 창밖 반짝이는 한강과 한강 둔치의 푸른 숲이 싱그럽다. 강변북로를 달리는 9707번 광역버스가 난지한강공원 정류장에 멈췄다. 맑고 파란 하늘 같은 발걸음으로 한강 둔치에 가득한 연둣빛 신록 속으로 들어간다.

난지캠핑장을 지나 자전거들이 오가는 도로에서 벗어난다. 강과 가장 가까운 길로 접어들었다. 자전거도 다닐 수 없는, 오직 걷는 길이다. 마른풀 냄새와 물비린내, 흙 내음이 난다. 옛 시골 시냇물 옆 신작로 흙길 같다는 생각을 한 건 오솔길 옆 송곳처럼 박힌 미루나무 때문이기도 했다.

곧추선 미루나무 그림자를 따라 고향인 충북 괴산의 갈매실 신작로를 걷던 어린 시절, 멀리 산모퉁이에서 흙먼지가 날리고 이내 그르렁거리는 소리를 내며 완행버스가 머리를 내밀었다. 누군가를 기다리는 마음은 봄볕 아래 간절했다. 추억의 향기에 눈앞의 풍경이 겹친다.

난지한강공원 야생동물 보호구역 한강 둔치와 생태섬을 돌아보는 둥그런 데크 길을 따라 한 바퀴 돈다.

셀 수 없이 많은 수양버들이 강가에 숲을 이루었다. 온통 연둣빛이다. 푸르게 빛나는 수양버들 숲이 있는 곳은 한강의 백사장이다. 강기슭으로 밀리는 강물이 새긴 물결의 나이테가 푸른 숲과 어울려 살갑다. 숨이 싱그러웠다. 멀리 보이는 도심의 빌딩들이 아무런 상관없는 다른 세상 같았다.

미루나무 아래 오솔길을 걷는다. 푸른 수양버들 가지 아래 새들을 관찰하는 시설물이 있다. 해오라기, 청둥오리, 큰기러기, 고방오리, 왜가리 같은 새들 사진과 안내 글이 보인다. 때가 아닌지, 새들을 보지 못하고 돌아섰다. 생태습지원으로 발길을 돌려 늪 같은 풍경을 지난다. 걸어왔던 길을 되짚어 돌아간다.

메타세쿼이아길.

수양버들 가지 아래서 연둣빛 시를 읽다

난지한강공원 야구장을 지나 강변북로를 가로지르는 육교를 건너면 하늘공원 아래 메타세쿼이아길이 나온다. 900m 정도 곧게 뻗은 흙길에 메타세쿼이아와 이태리포플러 나무가 줄지어 선 풍경이 거대한 성벽 같다. 높고 커다란 나무들이 저 멀리 소실점을 이루었다. 그 끝으로 걸어가거나 그곳에서 걸어오는 사람들은 급할 게 하나도 없다.

줄지어 선 메타세쿼이아가 만든 좁은 길 옆에 옛날 신작로를 닮은 넓은 흙길도 있다. 짐받이에 삽자루를 묶고 터덜거리며 지나가는 낡은 자전거가 딱 어울릴 것 같은 풍경이다. 논일 밭일 끝내고 집으로 돌아가는 옛 시골 마을 아저씨의 주름 굵은 웃는 얼굴을 만날 것 같은 길이다.

메타세쿼이아길을 다 걷고 월드컵공원 내 평화의 공원으로 향했다. 돌다리를 건너 공원 안으로 들어갔다. 바람에 날리는 연둣빛으로 물든 수양버들 가지 아래로 흙길이 구불거리며 이어진다.

수양버들은 물과 공기의 오염 물질을 정화하며, 항생제 성분이 있어 아스피린 재료로 쓰인다는 안내판이 길의 운치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하며 걷는 사이 시비가 있는 곳에 도착했다.

누군가 이곳에 시비를 세운 이유는, 수양버들 가지 아래 구불거리며 이어지는 흙길이 만들어내는 풍경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병풍 같은 수양버들 신록을 배경으로 시를 읽는다. 정지용 시인의 ‘여울지어/ 수척한 흰 물살// … // 붉은 잎 잎/ 소란히 밝고 간다’는 구절이 봄볕 아래 놓였다. ‘들길은 마을에 들자 붉어지고/ 마을 골목은 들로 내려서자 푸르러졌다’고 노래한 김영랑 시인의 시 첫머리가 푸른 신록을 닮았다. 조선시대 사람 이병연은 양화나루 풍경을 읊었고, 강희맹은 마포에 내리는 밤비를 노래했다. 한 번의 비가 더 내리고 봄빛이 짙어지면 따가운 햇볕 아래 솟구치는 생명들이 고목의 두꺼운 껍질을 뚫고 피어나겠지….

상수동 쉼터 200년 넘은 회화나무.

천수관음의 팔처럼 펼쳐진 나뭇가지

고목은 봄물이 늦게 오른다지만, 망원정을 찾아가는 길에 만난 150년 된 은행나무 고목의 빈 가지가 봄볕에 무색하다.

은행나무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는 망원정을 찾았다. 봄 가뭄이 심했던 어느 날 비를 기다리는 간절한 마음이 통했는지, 세종 임금이 정자에 머무를 때 마른 들녘을 촉촉이 적시는 비가 내렸다고 한다. 그래서 희우정(喜雨亭)이라고 이름을 지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훗날 월산대군이 정자를 물려받아 ‘아름다운 산과 강의 경치를 멀리 바라보다’라는 뜻의 망원정으로 이름을 바꿨다고 한다. 망원정에서 강 건너 보이는 풍경에 선유도(조선시대에는 선유봉이었다)가 있다.

망원정 앞에 핀 봄 꽃.

마포구 상수동 상수나루 소공원 뒤 오르막길 가운데 300년 가까이 살고 있는 회화나무가 있다. 그 나무를 지나 오르막길을 올라가다 왼쪽 골목으로 접어들면 건물과 건물 사이로 삐죽 뻗은 나뭇가지들이 보인다. 천수관음의 팔처럼 펼쳐진 나뭇가지를 보며 다가선다. 상수동 쉼터에 있는 200여 년 된 회화나무다. 건물로 둘러싸인 작은 쉼터에 우뚝 솟아 자라는 모습이 볼만하다. 이 나무 맞은편 골목으로 30m 정도 들어가면 또 한 그루의 고목이 있다. 건물 뒤편에 간신히 자리 잡은 은행나무 한 그루는 300년을 훌쩍 넘겼다. 건물 때문에 가지를 넉넉하게 펼치지 못한 모습이 안타깝다.

200~300년 된 고목들이 모여 있는 마을에서 서쪽으로 200~300m 떨어진 거리에 230여 년 된 느티나무가 한 그루 있다. 건물과 건물 사이 작은 주차장 안쪽에 있어 쉽게 찾을 수 없다. 주차장 한쪽 계단 위 건물 앞 작은 터가 거대한 나무 때문에 좁아 보인다.

연둣빛 봄 숲과 새잎을 피우기 위해 봄을 길어올리는 고목을 찾아 나선 하루, 마지막 들른 곳은 마포구 용강동 용강초등학교였다. 오후의 햇볕이 가득한 운동장 한쪽 비술나무 고목 아래 미끄럼틀과 정글짐이 보인다. 미끄럼을 타고 정글짐을 오르내리며 놀던 추억을 떠올리는 사이 병아리 같은 아이들 소리가 들렸다.

재잘거리며 나오는 아이들은 마중 나온 엄마 품에 안긴다. 포근하게 감싼 엄마 품에서 얼굴을 들고 마주 보고 웃는다. 170년 넘게 그 자리를 지키는 비술나무 고목이 그 모습을 말없이 지켜본다. 고목 아래에서 재잘대는 아이들이 있어 봄이 봄 같다.

용강초등학교 비술나무 고목.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