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형 ‘디지털 문해교육’, 정보화 격차 낮춰

기고ㅣ엄연숙 서울특별시 평생교육국장

등록 : 2019-07-25 15:28 수정 : 2019-07-29 10:04

크게 작게

글은 생각을 담는 그릇이다. 글을 모르면 살아가는 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생각하는 데도 제한이 있다. 지금 서울에 글을 읽고 쓰는 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많다. 약 39만 명의 서울 사람이 글을 잘 이해하지 못하거나 정보화사회에서 살아가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현대사회에서 글을 모르면문자와 숫자로 되어 있는 모든 신호를 활용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는다. 정보화가 진행되면서 정보 격차를 우려했던 것도 이런 까닭이다.

젊은 시절 여러 가지 어려움으로 교육받기 어려웠던 어르신들 중 많은 분이 비문해율과 정보화 기기 이용 면에서 낮은 비율을 보인다. 한국은행 통계를 보면 전체 모바일 기기 보급율 90% 중 60대 이상은 13.3%만 갖고 있다. 과학정보기술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 발표 자료에 따르면 일반 국민100%에 비해 장노년층 정보화율은 63.1%에 그치고 있다.

정보화로 사회가 급속히 변화함에 따라, 문해라는 영역이 단순히 문자를 읽고 쓰는 것 이상으로 확대되고 있다. 서울시가 지난 6월19일 발표한 ‘성인 문해교육 활성화 4개년 계획’은 이런 변화에 발맞춘 것이다. ‘스마트폰 활용법’을 비롯해 ‘무인기기 사용법’ 등 요즘 새로이 등장한 디지털 기기와 애플리케이션(앱)을 쉽게 쓸 수 있도록 돕는 21세기형 ‘디지털 문해교육’, 서울 도심 생활에 필요한 실생활 영어와 지하철 노선도 보며 환승하기 등 ‘생활형 교육’이 문해교육에 포함됐다.

서울시는 일부 자치구에서 소규모로 도입한 디지털 문해교육을 확대해, 결혼이민자·귀화자·북한이탈주민 등 더 다양화된 인구 특성에 따라 ‘지역 특화 문해교실’도 2022년까지 30개소를 지정해 운영할 계획이다. 그동안의 문해교육 내용도 새로 개발돼 ‘생활 속에 필요한 교육’으로 채워졌다. 생활에 필요한 교육, 배운 것을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교육이 서울시 문해교육이 나아갈 길이다.

또한 3명 이상의 학습자가 신청하면 ‘찾아가는’ 문해교육 프로그램도 100개까지 확대하고, 4개 권역별로 거점 기구를 정해 문해교육을 펼쳐갈 계획이다. 이처럼 서울시는 비문해율을 현재 7.8%에서 2022년에는 6.6%까지 낮출 목표로 4개년 계획을 세워 시행하고자 한다.

서울시는 다양화된 인구 특성에 따라 ‘지역 특화 문해교실’을 확대 운영한다. 문해교육 내용도 새롭게 개발해 ‘생활 속에 필요한 교육’으로 채웠다. 교육에 참여한 시민들은 “글을 배우니 혼자 지하철 타고 자식네도 갈 수 있고, 다른 사람 도움 없이 스스로 할 수 있으니 좋다”고 말한다. 서울시 제공

교육에 참여한 시민들은 “글을 배우니 혼자 지하철 타고 자식네도 갈 수 있고, 은행 일도 볼 수 있고, 다른 사람 도움 없이 스스로 할 수 있으니 좋다” 고 말한다. 스스로 뭔가를 할 수 있다는 당당함이야말로 세상을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자존감이다.

배움은 평생에 걸쳐서 할 일이다. 그리고 세상이 변하는 것에 맞춰 늘 배우지 않으면 살아가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우리는 알게 모르게 배움을 이어가고 있다. 그런 배움을 계속하는 데 꼭 필요한 것이야말로 문해 능력이다.


늦었다고 포기하지 않고 글을 배우고 그 밖의 여러 신호를 배우려는 분들의 용기가 서울시 문해교육의 중요한 요소이다. 지속적인 문해교육을 통해 또 새로운 창조적 일도 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 예가 바로 문해교육 경험을 시로 남겨 전국문해교육시화전 최우수상을 받은 김도순님의 ‘세상으로 밀어주는 휴대폰’이라 할 수 있다. 그 시 일부를 함께 나누고자 한다.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