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공유
‘위태로운 나라에는 들어가지 않는다’는 말이다. 의미를 넓게 생각하면 반드시 나라만이 아니라, 지역, 단체, 심지어 사람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수상쩍은 사람과는 너무 가까이 지내지 않는 것이 현명한 처신이다.
‘위방불입’과 짝하는 말이 ‘난방불거’(難邦不居)이다. 어지러운 나라에서는 살지 않는다는 뜻이다. ‘위방불입 난방불거’. 위태로운 나라에는 들어가지 말며, 어지러운 나라에서는 살지 마라. 이 당연한 듯한 말은 다름 아닌 공자의 말씀이다. <논어> 태백 편에 다음과 같은 말이 나온다.
“굳게 믿어 배우기를 좋아하고 목숨 바쳐 도를 지켜라. 위태로운 곳에는 들어가지 말며 어지러운 나라에서는 머물지 마라. 천하에 도가 있으면 나아가 몸을 드러내고, 천하에 도가 없으면 물러나 지내라. 나라에 도가 있을 때는 빈천이 수치이고, 나라에 도가 없을 때는 부귀가 수치이다.”(篤信好學 守死善道 危邦不入 亂邦不居 天下有道則見 無道則隱 邦有道 貧且賤焉 恥也 邦無道 富且貴焉 恥也)
전체 맥락으로 보면 공자는 제자들에게 선비의 정도(正道)를 역설하고 있다. 군자다운 선비는 어떤 사람인가? (정도를) 굳게 믿고 배우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다. 옳다고 믿는 도를 위해 목숨을 걸 줄 아는 사람이다. 부귀와 빈천도 영욕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갈리는 것이다. 따라서 군자는 시중(時中)의 철학을 아는 자이다. 때에 따라 쓰임과 출처가 다를 수 있기에 군자는 늘 자신을 닦으며 때를 기다리는 자라고 공자는 말하고 있다.
그럼 ‘위방불입 난방불거’는 무슨 말인가? 뜻을 굽히고 빌붙어야 하는 곳은 도가 없는 곳이다. 그런 곳은 불러도 가지 않으며, 붙잡아도 머물지 않는다. 그것이 스스로 명예를 지키고 치욕을 피하는 현명한 자세라고 공자는 가르치고 있다. 얼핏 생각하면 자기 한 몸만 생각하는 이기적인 처세로 들을 수 있지만, 사실은 선비는 더불어 뜻을 같이할 수 있는 나라와 지도자를 선택할 수 있음을 공자는 말하고 있는 것이다.
‘위방불입 난방불거’라는 말의 넓은 쓰임새로 보면 요즘 대한민국이 그 말에 딱 들어맞는 위태롭고 어지러운 나라다. 특히 난데없이 사드 배치라는 폭탄을 맞은 성주는 위방불입의 대표적인 고을처럼 들린다. 지도자를 잘못 만난 탓이려니 여기기에는 성주 주민들이 너무 안타깝다.
이인우 <서울&> 콘텐츠 디렉터 iwlee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