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소식

서울시, 지방과 상생 사업에 4년간 2403억원 투자

지방 29개 기초자치단체와 협약 체결

등록 : 2019-05-30 16:26

크게 작게

사람·정보·물자 등 36개 사업 전개

지방 창업·고용 청년 선발

괴산·상주·영암에 ‘서울농장’

21년엔 마곡에 도시농업 플랫폼

박원순 시장과 구청장협의회 회장단, 지방 29개 기초자치단체장 대표들이 22일 오전 중구 서울시청에서 서울-지방 상생을 위한 협약 체결식을 마치고 기념시진을 찍었다. 연합뉴스

서울시가 서울과 지역 간의 불균형과 양극화 문제 해결에 나섰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 22일 “서울과 지방 간의 상생 협력에 뜻을 같이하는” 지방 29개 기초자치단체와 ‘상생 협력을 위한 협약’을 맺고, 그 실현 전략으로 ‘서울시-지역 상생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서울 시내 25개 자치구와는 서울-지방 상생 협력을 다짐하는 ‘서울-지방 상생을 위한 서울선언문’도 선포했다. ‘서울-지방 상생을 위한 서울선언문’은 △서울·지방 청년에 대한 집중 지원 △주민 주도 풀뿌리 상생 교류 활동 지지 △서울의 교육·정보·기술·공간 인프라 개방과 문화 자원 제공 △지방의 물자가 안정적이고 공정하게 판매될 수 있도록 지원 △기계적 교류 방식이 아닌 비례적 상생 교류를 위한 서울의 책임 강화 등을 담고 있다.

박 시장은 협약 체결식에서 “서울과 지방의 불균형 문제를 더 이상 방치하면 공멸로 갈 수밖에 없다. 오랜 시간 이어져온 악순환의 고리를 끊는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며 “상생 발전은 우리 모두의 시대적 과제다. ‘편중과 과소’의 악순환을 끊고 ‘공존과 상생’이라는 선순환의 미래를 열겠다”고 말했다.


서울시가 이번에 내놓은 종합계획의 핵심은 올해부터 2022년까지 총 2403억여원을 투자해 사람(17개), 정보(10개), 물자(9개) 3개 분야에 총 36개 상생 사업을 벌인다는 것이다.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 청년들의 지방 취·창업을 지원하고, 귀농·귀촌 지원은 실제 농가에서 살아보며 배울 수 있는 ‘체류형’으로 진화시킨다는 계획이다.

서울 청년의 지방 취·창업 지원

지방 청년들에게 서울의 교육 자원과 공간 인프라 접근 기회를 넓힌다. 또 지방에서 취·창업을 꿈꾸는 서울 청년들을 발굴하고 지원한다. 창업 모델은 연간 100명의 청년(만 19~39살)을 뽑아 창업자원 조사부터 아이디어 구체화, 사업 모델화를 위한 인큐베이팅까지 단계별로 지원한다. 2022년까지 연해마다 200명까지 대상자를 확대한다. 선발된 팀은 사업비로 연 2천만~5천만원을 받는다. 농·산촌 창업에서 벗어나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마케팅·유통, 지역재생·마을 활성화, 문화·복지·정보 서비스 등 분야 창업을 지원한다.

고용은 연간 200명 내외를 선발해 지방 도시의 소셜벤처, 사회적기업, 마을기업과 연계해 일자리를 지원한다. 시와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해 기업에 인건비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추진한다. 2022년 연 300명으로 규모가 확대된다.

지방의 예비 대학생이 서울을 방문할 때 싼값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기숙사의 일부가 게스트하우스로 개방된다. 올해는 여름방학에 시범 운영하며, 2020년부터는 연중 개방한다. 연중 사용이 가능해지면 한 해 총 2500여 명이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귀농·귀촌 지원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교육·체험·체류 3단계별로 귀농·귀촌을 지원한다. 교육에 이어 단기 농촌살이를 체험해볼 수 있는 ‘서울농장’이 올해 충북 괴산, 경북 상주, 전남 영암에 문을 열며 2022년까지 전국에 10곳(연간 2만 명 이용 가능)으로 확대된다. 장기 체류형 귀농은 연간 60~70여 가구를 선발해 9~10개월간 체류 기회를 제공하고 정착을 지원한다. 이 사업은 영주, 무주, 구례 등 6개 지자체와 협업해 지원한다.

혁신 기술과 제도의 공유

서울 중심으로 축적된 혁신 기술과 정책 노하우를 지방 도시와 공유하고 전수한다. 서울의 정책이 각 지역 현장의 실태에 맞게 응용될 수 있도록 올해부터 정책 지원 사업인 ‘찾아가는 혁신로드’가 시작된다. 올해 3개 지역에서 시범 사업을 시작하고 2022년 연 9개 지자체로 연차별 확대된다. ‘서울 정책 연수 프로그램’을 강화해 도시재생, 신재생에너지, 사회적 경제 등 테마별 집중 연수 코스가 신설된다. 참여자 규모도 올해 5500명에서 2022년 7천 명까지 늘린다.

지역 상생 거점 확대

도시농업 체험 복합 공간인 ‘농업공화국’(가칭)이 2021년 준공을 목표로 강서구 마곡에 지으려 한다. 지상 3층 규모로 지역 농특산물 홍보·체험관, 농업전시관, 씨앗은행, 체험농장, 텃밭 직거래 장터 등이 들어선다. 시는 이곳을 지역의 특산물과 정보, 커뮤니티 등 상생 자원이 모이는 허브 공간으로 발전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문화·예술 분야 교류 확대

서울시 세종문화회관 소속 예술단(오페라단·무용단·뮤지컬단)을 중심으로 지방공연을 확대하며, 서울시향이 클래식 공연을 보기 어려운 지역으로 ‘찾아가는 클래식 공연’을 시작한다. 서울시립미술관 등 박물관과 미술관의 지방 전시 개최도 연차적으로 확대된다.

서울시와 상생 협약을 한 지방 기초자치단체(29개)는 다음과 같다. 강원도 태백·평창, 경남 거창·고령·남해·함양, 경북 경산·문경·상주·성주, 전남 나주·목포·남원·순천·강진·영광·영암·완도·함평, 전북 정읍·고창·무주·진안, 충남 공주·논산·홍성, 충북 괴산·증평·청양.

이인우 선임기자iwlee21@hani.co.kr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

맨위로